고속철로 인한 2021년 인구 증가 지역
국토연구원 보고서
경제기반·주변 연계성 차이 탓
경제기반·주변 연계성 차이 탓
경부고속철도 건설로 이동이 편리해지면서 경부선 주변에 인구가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호남지방에는 호남고속철 개통 뒤에도 이런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고속철도와 국토공간구조의 변화’ 보고서를 보면, 경부고속철도 완공(2010년) 뒤인 2011년 서울·대전·대구·부산 등 수도권·충청권·영남권의 정차 도시와 그 주변 대부분 지역에서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호남에선 익산·군산·김제·완도 지역에서만 인구가 늘어나고 주변 지역에선 인구 증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됐다. 호남고속철의 개통(2018년) 뒤인 2021년에도 호남 지역에선 익산·광주·목포 등 정차 도시에서만 인구가 늘어나고, 주변 지역 인구 증가는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호남고속철 개통 뒤에도 수도권·충청권·영남권의 정차 도시와 주변 지역 인구 증가 추세는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어느 지역으로 얼마나 빨리 이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접근도를 기준으로 봐도, 2004년 1단계 경부고속철 개통 이후 대전·대구·부산과 그 주변 지역 대부분에서 접근도가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런 접근도 개선 효과는 경부고속철 완공 뒤인 2011년 경주·울산과 그 주변 지역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예견됐다. 그러나 호남 지역에선 호남고속철이 완공된 뒤인 2021년에 익산과 광주, 목포에서만 접근도 개선 효과를 볼 뿐 다른 지역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고 국토연구원은 밝혔다.
연구를 맡은 이용우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호남축은 경부축에 비해 지역 경제 기반이나 주변 지역과의 연계성이 떨어져 (고속철로 인한) 인구 증가 효과가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호남고속철 완공 시점이면 이미 고속도로나 일반도로가 확충돼 고속철 개통에 따른 추가적 접근도 개선 효과도 작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