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부지 안 국방부·미군시설 배치도
미, 대사관·잔류 미군기지·전쟁기념관 부지 요구
공원 규모 계획보다 13만평 준 68만평 그칠듯
공원 규모 계획보다 13만평 준 68만평 그칠듯
2012년까지 반환되는 용산 미군기지 81만평에 조성될 예정이었던 용산민족역사공원이 국방부와 미군 등 각종 부지 요구에 따라 68만여평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시민단체들은 용산공원 중심부에 잔류 미군기지와 국방부 시설이 들어서면 용산공원의 위상이나 경관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18일 20개 환경·문화·평화 시민단체로 이뤄진 ‘용산기지 생태공원화 시민연대’가 국회 건설교통위원들에게 보낸 의견서를 보면, 애초 메인포스트 24만평, 사우스포스트 57만평 등 81만평 기지 전체에 조성하려던 용산공원의 규모는 국방부와 미군, 미 대사관의 부지 요구로 12만2016평(전체 부지의 15%)이 줄어 68만7984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의견서를 보면, 국방부는 용산공원 부지 5만5478평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다. 사우스포스트에서 국방부와 잔류 미군기지와의 연결지대 2만4484평, 미121병원 1만6245평, 메인포스트에서 전쟁기념관 확장 1만3466평, 정수장 2곳 1283평을 요구하고 있다. 국방부는 2005년 12월 이런 내용을 공식 제기했으며, 용산민족공원추진위원회가 최종 결정한다.
이미 용산 잔류 미군과 미 대사관의 부지 요구에 따라 6만6538평이 줄어들었다. 2004년 ‘용산 미군기지 이전협정’에 따라 사우스 포스트에서 잔류 미군기지로 2만5400평, 미군 헬기장으로 1만7138평을 내줬다. 또 2005년 ‘미 대사관 이전에 관한 양해각서’에 따라 메인포스트에서 미국 대사관에 2만4천평을 제공했다.
특히 잔류 미군기지와 국방부-미군기지 연결지대 등은 용산공원의 한복판에 위치하게 돼 용산공원의 중심부를 국방부와 미군 등 군사시설이 차지하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우려된다. 또 국방부와 미군의 시설들이 서쪽와 중심부에 집중돼 용산공원은 사다리꼴에서 가운데가 움푹 패인 모양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대해 국무조정실 용산공원추진단 김병수 사업추진부장은 “잔류 미군기지나 미 대사관 부지로 공원이 줄어들지만, 이는 한·미간의 협약에 따른 것으로 되돌릴 수 없다”며 “앞으로 공원을 조성할 때 용산가족공원·중앙박물관 10만평, 전쟁 기념관 4만5천평을 포함하면 81만평보다도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상훈 환경운동연합 처장은 “바로 길 건너 캠프 킴으로 옮길 수 있는 미 대사관을 왜 굳이 용산공원 안에 지으려 하느냐”며 “용산공원 터를 정부가 멋대로 잘라서 미군이나 미 대사관, 한국군에 넘겨주지 말고, 시민들의 의견을 듣고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애초 위아래로 긴 사다리 모양으로 100만평에 이르렀던 용산 미군기지는 1990년 전쟁기념관에 4만5천평, 1992년 용산가족공원에 10만평이 먼저 반환됐다. 2012년까지 메인·사우스 포스트 81만평, 캠프 킴, 유엔사, 수송부 등 5만6천평이 모두 반환될 예정이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