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경제연구소 보고서
이혼, 자살, 범죄 차례로 경제성장률 등 경제지표와 높은 상관관계를 지녔으며, 외환위기 이후의 양극화도 이런 사회병리 현상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엘지경제연구원은 23일 <자살, 이혼, 범죄, 그리고 경제>란 보고서에서, 1991~2003년의 이혼 증가율과 경제성장률의 상관계수가 -0.882로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경제성장률과 자살 증가율은 -0.773, 경제성장률과 범죄증가율은 -0.378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이 계수는 -1~1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며, 1에 가까울수록 비례적인 상관성이 높음을, -1에 가까울수록 반비례적인 상관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이혼 및 자살 증가율은 경제성장률과 반비례하는 정도가 크다는 것이다.
이혼증가율은 경제성장률이 -6.9%로 떨어진 1998년에 30%에 육박하다가, 외환위기 충격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1999년과 2000년에 1%대로 급락했다. 하지만 경제성장률이 3.1%에 그친 2003년에는 다시 15%까지 치솟았다. 자살 증가율도 1998년 41.4%까지 올랐다가 떨어졌는데, 2003년에는 26.7%로 다시 뛰었다. 범죄 증가율은 이혼이나 자살보다는 경제성장률과의 상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히 “외환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사회병리 현상과 경제지표들의 상관성이 더 높아졌다”고 밝혔다. 상위 10%와 하위 10%의 소득을 배수로 나타내는 소득 10분위 배율은 외환위기 전 7배 수준에서 1998년과 2004년에는 9배 이상으로 뛰었는데, 이는 이혼 및 자살 증가율과 등락을 같이했다.
배민근 연구원은 “자살과 이혼에는 문화와 제도 등도 영향을 끼치지만, 경제가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소득의 안정적 증가, 양극화 및 가계부실 해소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