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는 신라의 속지였으며 토지가 척박해 연례적으로 신라의 원조를 받아왔다는 사실을 기록한 해외 역사자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돼 독도분란 해법과 관련해 주목된다.
특히 이 사료를 공개한 일본인 교수는 최근 악화되고 있는 독도 영유권 문제와관련해 감정적 대응 보다는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란을 해소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충고해 양국 국민 사이의 공감대 형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서울대 이현복 명예교수에 따르면 미국 출신의 선교사이자 한국사 전문가인 H.헐버트(Hulbert)씨가 1905년 출간한 `한국의 역사(History of Korea)'에 대마도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는 내용들이 실려있다.
35쪽 분량의 이 책에는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island of Tsushima, whether actually conquered by Sil-la or not, became a dependency of that Kingdom"(쓰시마<대마도>가 신라에 정복됐든 아니든 그 왕국<신라)의 속지가 됐다는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돼 있다.
책은 이어 "on account of the sterility of the soil the people of that island were annually aided by the government"(토양이 척박했기 때문에 그 섬<대마도>의 주민들은 연레적으로 정부<신라>의 원조를 받았다)고 기록했다.
이 책은 일본 구마모토대의 시미즈 기요시 교수(언어학)가 "최근 독도분란이 한일 관계의 핵심 쟁점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한국 학자와 국민이 이 사실을 알기 바란다"는 내용의 e-메일을 이 교수에게 보내면서 공개됐다.
시미즈 교수는 "최근 독도문제로 한일관계가 나빠지고 있는데 서로 싸우지만 말고 잘 해결됐으면 좋겠다.
때가 때인지라 우리 모두 알아야 할 내용을 한국민에게알려주고 싶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 교수는 "일본이 독도에 대해 터무니없는 주장을 일삼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감정적 대응보다는 역사적 근거와 기록을 하나라도 더 찾아내는것이다. 조선이나 고려도 아닌 삼국시대에 신라가 대마도에 대해 실질적 지배를 해왔다는 점은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다"며 독도분란의 해법을 제시했다. 이 책의 저자 헐버트는 1863년 미국에서 태어나 뉴 햄프셔주(州) 다트먼트대학을 졸업한 뒤 1886년(고종23년)에 소학교 교사로 초청받아 한국에 입국한 것을 계기로 한반도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을사늑약 체결 후 고종의 밀서를 들고 미 대통령과 면담을 시도하고 1907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서 한국대표단의 호소문을 세계에 알리는 등한국의 국권 회복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1949년에는 국빈으로 내한했다 병으로 숨져서울 마포구 양화진의 외국인 묘지에 묻혔다. (서울/연합뉴스)
이 교수는 "일본이 독도에 대해 터무니없는 주장을 일삼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감정적 대응보다는 역사적 근거와 기록을 하나라도 더 찾아내는것이다. 조선이나 고려도 아닌 삼국시대에 신라가 대마도에 대해 실질적 지배를 해왔다는 점은 중요한 역사적 사실이다"며 독도분란의 해법을 제시했다. 이 책의 저자 헐버트는 1863년 미국에서 태어나 뉴 햄프셔주(州) 다트먼트대학을 졸업한 뒤 1886년(고종23년)에 소학교 교사로 초청받아 한국에 입국한 것을 계기로 한반도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을사늑약 체결 후 고종의 밀서를 들고 미 대통령과 면담을 시도하고 1907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서 한국대표단의 호소문을 세계에 알리는 등한국의 국권 회복운동에 적극 나섰으며 1949년에는 국빈으로 내한했다 병으로 숨져서울 마포구 양화진의 외국인 묘지에 묻혔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