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회장 보복폭행 현장마다 동행
핸드폰 위치추적 결과 김회장 일행과 동선 일치
문화방송 “철거용역업체 직원 해결사 동원” 보도
피해자들 “금품제공” 진술 불구 뒤늦게 확인나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김 회장 일행과 함께 다녔다고 피해자들이 진술한 한화 협력업체 사장의 신원도 파악하지 않았던 것으로 4일 드러났다. 피의자 신분이 될 수도 있는 사람을 찾지도 못한 상태인 셈이다. 경찰은 지난 3일 한화그룹 협력업체 ㄷ토건 사장인 김아무개(49)씨의 휴대전화 위치추적 결과, 지난 3월8일 밤~9일 새벽 사이 서울 북창동 ㅅ클럽 종업원들이 보복폭행을 당했다고 진술한 청담동·청계산·북창동 등 보복폭행 현장 근처를 옮겨다닌 사실을 파악했다. 김씨가 사장인 ㄷ토건은 2000년부터 한화 협력업체로 등록돼 있으며, 최근 한화로부터 충남 아산의 100억원대 규모의 공사를 수주했다. 그러나 경찰은 ㅅ클럽 사장 조아무개씨가 “치료비로 100만원짜리 수표 두 장을 건넸다”고 진술한 ‘협력업체 사장’과 김씨가 같은 사람인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장희곤 남대문경찰서장은 “김씨를 붙잡아 피해자들과 대질신문을 해 봐야 ㅅ클럽에 왔다는 협력업체 사장과 같은 인물인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들이 ‘협력업체 사장’이라고만 진술했을 뿐 인적사항을 전혀 기억하지 못했다”며 “한 언론사가 제공한 정보를 받고 나서야 김씨의 신원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택순 경찰청장은 이날 행정자치위원회에 출석해 이 사건 수사에 대한 감찰조사와 관련해 “최기문 전 경찰청장(현 한화건설 고문)에 대해서도 예외 없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피해자들의 일관된 진술과 그간 확보된 증거로 볼 때 김 회장이 폭행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며 “보강 증거가 확보돼 있고, (피의 사실이) 거의 확정적이므로 검찰과 협의해서 조만간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은 이날 오후 경찰로부터 수사기록을 넘겨받아 검토한 뒤 경찰에 보강수사를 지시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대검 관계자는 “보강수사에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고 말해 구속영장 청구가 늦어질 수 있음을 내비쳤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기록을 보니 피해자들의 진술이 구체적이고, 현장 조사와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 부분도 많아 (김 회장의) 혐의 입증에 큰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이날 호소문을 내 “과도한 보도 경쟁으로 사건의 본질을 벗어난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보도 사례가 넘치고 있다”며 각 언론사에 신중한 보도를 요청했다. 하어영 이정훈 김영희 기자 haha@hani.co.kr
문화방송 “철거용역업체 직원 해결사 동원” 보도
피해자들 “금품제공” 진술 불구 뒤늦게 확인나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폭행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김 회장 일행과 함께 다녔다고 피해자들이 진술한 한화 협력업체 사장의 신원도 파악하지 않았던 것으로 4일 드러났다. 피의자 신분이 될 수도 있는 사람을 찾지도 못한 상태인 셈이다. 경찰은 지난 3일 한화그룹 협력업체 ㄷ토건 사장인 김아무개(49)씨의 휴대전화 위치추적 결과, 지난 3월8일 밤~9일 새벽 사이 서울 북창동 ㅅ클럽 종업원들이 보복폭행을 당했다고 진술한 청담동·청계산·북창동 등 보복폭행 현장 근처를 옮겨다닌 사실을 파악했다. 김씨가 사장인 ㄷ토건은 2000년부터 한화 협력업체로 등록돼 있으며, 최근 한화로부터 충남 아산의 100억원대 규모의 공사를 수주했다. 그러나 경찰은 ㅅ클럽 사장 조아무개씨가 “치료비로 100만원짜리 수표 두 장을 건넸다”고 진술한 ‘협력업체 사장’과 김씨가 같은 사람인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장희곤 남대문경찰서장은 “김씨를 붙잡아 피해자들과 대질신문을 해 봐야 ㅅ클럽에 왔다는 협력업체 사장과 같은 인물인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들이 ‘협력업체 사장’이라고만 진술했을 뿐 인적사항을 전혀 기억하지 못했다”며 “한 언론사가 제공한 정보를 받고 나서야 김씨의 신원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택순 경찰청장은 이날 행정자치위원회에 출석해 이 사건 수사에 대한 감찰조사와 관련해 “최기문 전 경찰청장(현 한화건설 고문)에 대해서도 예외 없이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피해자들의 일관된 진술과 그간 확보된 증거로 볼 때 김 회장이 폭행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며 “보강 증거가 확보돼 있고, (피의 사실이) 거의 확정적이므로 검찰과 협의해서 조만간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은 이날 오후 경찰로부터 수사기록을 넘겨받아 검토한 뒤 경찰에 보강수사를 지시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대검 관계자는 “보강수사에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고 말해 구속영장 청구가 늦어질 수 있음을 내비쳤다. 다른 검찰 관계자는 “기록을 보니 피해자들의 진술이 구체적이고, 현장 조사와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는 부분도 많아 (김 회장의) 혐의 입증에 큰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화그룹은 이날 호소문을 내 “과도한 보도 경쟁으로 사건의 본질을 벗어난 개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보도 사례가 넘치고 있다”며 각 언론사에 신중한 보도를 요청했다. 하어영 이정훈 김영희 기자 ha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