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원 기자
[현장에서]
12일 오전 11시 건설교통부 신도시기획팀은 한 장짜리 ‘해명자료’를 냈다. 이날 오전 <연합뉴스>가 보도한 ‘내년 수도권 신도시 토지보상비 20조원’이란 기사에 대한 반박이었다. 580자로 이뤄진 이 보도자료는 “내년에 신도시 보상비 20조원이 일시에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연차적으로 지급되며, (내년 보상금은) 연평균 보상금 5조~6조원 수준을 크게 상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간단한 내용으로 돼 있었다.
추가 취재가 필요했다. 내년 수도권 새도시 토지보상비가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과거 수도권과 전국에서 한 해 토지보상비가 얼마나 지급됐는지, 토지보상비가 풀리는 데 따른 대책은 있는지 등등.
해명자료에 담당자라고 적힌 김아무개 팀장에게 전화를 했다. 국회 대정부 질의에 갔다는 답변을 듣고 휴대전화로 걸었으나 받지 않았다. 김 팀장과 함께 담당자로 돼 있는 이아무개 사무관을 찾으니 밖에 나갔다고 했다. 그래서 “김 사무관의 휴대전화 번호를 알 수 있냐”고 물으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이 사무관이 나가면서 ‘기자가 물어보면 휴대폰 번호 알려주지 말라’고 했는데요.” 두 사람은 보도자료만 내놓고 연락이 두절된 것이다.
어렵사리 건교부의 다른 직원들에게 취재해보니 해명자료 내용도 부정확했다. 수도권 연평균 토지보상비는 5조~6조원이 아니라, 2004년 이후 매년 10조원을 넘었다. 또 내년에 토지보상비 지급이 몰릴지, 분산될지도 장담하기 어려웠다.
정부는 지난 5월22일 내놓은 ‘취재지원 시스템 선진화 방안’에서 “공무원들의 적극적 취재협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