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유,세무조사 무마·주 회장 사면 등 6가지 명목
7,202,000,000원(72억200만원).
지금까지 제이유그룹이 각종 로비와 관련해 정·관계 인사 등에게 뿌린 것으로 드러난 돈이다. ‘단군 이래 최대의 사기사건’을 저지른 주수도 회장은 사기의 규모에 걸맞게 엄청난 로비자금을 뿌렸다.
검찰이 밝혀낸 제이유의 로비는 △세금 감면 △주 회장의 사면·복권 및 수사 무마 △방문판매업법 개정 △서해유전 개발 △언론보도 무마 △금감원·공정위 조사 무마 등 6가지 방향으로 진행됐다. 이 가운데서도 서경석 목사와 염동연 의원, 김희완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등이 연루된 세무조사 무마에 가장 많은 17억5천여만원이 쓰였는데, 실제 효과를 봤다. 과세전 적부심사를 통해 부과액이 800억여원 가량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은 “감세 과정 자체의 위법성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15억여원씩 들어간 주 회장의 사면·복권 로비와 서해유전 개발사업 추진은 결과가 신통치 않았다. 주 회장은 되레 언론보도 무마와 사면·복권 로비를 해주겠다는 ‘사기꾼’들에게 20억원 가량을 뜯겼다고 검찰은 밝혔다.
로비 수법도 다양했다. 이부영 전 의원과 임아무개 전 <에스비에스> 부장, 윤아무개 국회의원 보좌관, 김아무개 전 검찰 수사관 등에게는 차명통장과 함께 비밀번호, 도장을 넘겨 돈을 찾아 쓰도록 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서울동부지검 수사팀은 차명통장을 통해 돈이 인출된 사실을 파악하고도 누가 통장의 새 주인인지 밝혀내지 못해 애를 먹기도 했다.
주 회장은 또 이부영 전 의원과 서 목사에게는 공익성 후원금 명목으로 10억여원을 건넸으며, 최아무개 전 서울시 공무원에게는 물품 납품권을 주는 방식으로 4억원 가까운 이득을 챙기게 해줬다. 또 박아무개 전 공정위 상임위원에게는 컨설팅비용 명목으로 억대의 금품을 건넸으며, 김 전 부시장에게는 투자 가치가 거의 없는 회사에 투자하는 ‘합법적인’ 형식을 빌려 3억원을 건넸다.
지지부진했던 지난해 서울동부지검 수사와는 달리 현재 수사팀에서 제이유의 로비 윤곽을 잡아낸 데는 주 회장의 태도 변화가 큰 구실을 했다. 검찰 관계자는 “주 회장이 동부지검 수사 때와는 달리 어느 정도 입을 열었으며, 주 회장 비서실장의 진술과 수첩이 수사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