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간에서 납치된 김경자씨의 언니(모자 쓴 사람)가 20일 피해자들이 다니는 경기 분당 샘물교회에서 교회 관계자의 품에 안겨 울먹이고 있다. 성남/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샘물교회·가족 침통
“시간이 너무 촉박한데 정부가 일단 구두로라도 철군 약속을 했으면 좋겠다.”
20일 오후 2시께 서명화(29), 경석(27) 남매의 피랍 소식을 전해들은 아버지 서정배(57)씨는 애가 탔다.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한국군이 철수하지 않으면 봉사단원들을 살해하겠다고 했다는 소식까지 전해지자 서씨는 “한국군이 일단 철수한 다음에 다시 파병을 할 수도 있고 이후에 비자 심사를 엄격하게 해 민간인이 못 가게 막을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사람 목숨이 우선이다”라고 안타까워했다. 전북 익산시 송학동의 서씨 집 방안에는 남매의 어머니 이현자(54)씨가 저녁 식사도 거른 채 몸져누워 있었다.
봉사단원들이 속한 경기 성남 분당 새도시의 샘물교회 역시 침통한 분위기였다. 소식을 듣고 교회로 모여든 가족과 신도들은 “무사히 돌아오게 해달라”고 기도하면서도 불안한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교회 1층 사무처 앞에는 해외봉사팀이 가져갈 물품이 많이 쌓여 있었다.
이날 오후 4시께 교회를 찾은 김아무개씨는 “동생 경자(37)가 납치됐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김씨는 “인터넷을 통해 동생의 납치 사실을 보고 교회에 확인하러 왔다”고 말했다. 유정화(39)씨의 이모 곽정강(63·용인 수지)씨는 “아프간에서 선교 활동을 열심히 하고 있다는 전화를 받았는데 납치가 웬일이냐”고 되물었다. 이번 참가자 중에 가장 나이가 어린 이영경(22)씨의 아버지는 “3일 전 딸과 전화 통화를 했는데, 내가 선물로 준 손전등을 잘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제는 통화를 시도했으나 연결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교회 사무처장 권혁수 장로는 “피랍 지역이 위험한 곳이어서 피랍자들의 신상이 한국 언론에 보도되면 아프간 무장세력이 모니터링할 가능성이 있다”며 피랍자 신상을 자세히 알리기를 극도로 꺼리며 보도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한겨레>가 입수한 봉사단의 일정표를 보면 이들은 지난 13일 인천공항을 떠나 베이징~두바이~카불을 거쳐 칸다하르로 이동 중이었으며, 22일 카불을 떠나 23일 귀국할 예정이었다. 샘물교회는 5~6년 전부터 여름방학 기간을 이용해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20명 규모의 팀을 꾸려 봉사활동을 벌여 왔으며, 올여름에도 12개 나라에 해외선교봉사단을 보낼 예정이다. 이 교회는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 은혜샘유치원과 힐라병원을 각각 2005년 3월, 2006년 5월 세운 뒤 지원하고 있다. 성남/홍용덕, 익산/박임근 기자, 유동엽 인턴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