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동포 후손들이 일본의 후소사판 역사교과서 반대운동과 관련해 “역사왜곡에 대한 감정적 대응은 오히려 일본인들에게 반한감정을 부추기는 역효과를 낼 우려가 있다”며 “이는 일본 우익들이 원하는 바이므로 분노의 대상을 명확히 해달라”고 당부했다.
재일동포 3~4세들로 구성된 민단 산하 단체인 ‘재일본 대한민국 청년회’는 1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에서는 한국 언론들의 역사교과서 왜곡 비판이 일본 자체에 대한 비판으로 이해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특히 청년회는 지난해 0.03%에 불과했던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의 역사교과서 채택률을 높이기 위해 ‘새역모’가 의도적으로 한국 언론의 ‘감정적 보도’를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이용해 두 나라 사이의 대립을 부추긴 뒤, 일본내 반한 감정을 자극해 왜곡 역사교과서에 대한 감정적 지지를 모으려 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대다수 일본인들은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해 잘 모르고 한류 열풍에서 보듯이 한국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다”며 “일본 전체를 대상으로 한 비판을 일본내 보수 우익 언론들은 ‘일본이야말로 피해자다’는 반한 여론 조성에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회는 “일본 정부 전체에 대한 비판보다는 ‘새역모’를 추진하는 핵심 당사자들의 언행을 구체적으로 비판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차기 수상으로 거론되는 아베 신조 자민당 간사장의 역사 왜곡·침략 미화 공작을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