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접근권 제한과 관련한 정부와 언론계의 갈등이 커져가는 가운데 정부 책임자가 기자단을 직접 만나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국정홍보처 방선규 홍보협력단장은 29일 과천 정부청사에 출입하는 각 부처의 기자단 간사들과 만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한 기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방 단장은 “다음주 초쯤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과 관련한 총리 훈령이 최종 발표될 것”이라며 “취재 환경이 악화되지 않도록 최대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기자들은 정부의 방침에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뒤 △다양한 취재 방법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조성할 것과 △훈령이 확정됐을 때 취재 억제책이 나오면 집단적인 행동에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그러나 방 단장은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언론단체 등 여론을 충분히 듣고 결정하자는 의견이 많아 최종 발표는 조금 늦어질 수도 있다”고 시기와 관련해서는 여지를 두었다.
한편 이날 기획예산처 기자단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한 반대 성명을 냈다. 성명에서 기자들은 “기획예산처 기사 송고실이 폐지될 경우 담당 기자들은 경기도 과천에서 대기하면서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있는 기획처 공무원들이 오기만을 기다려야 하는 황당한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며 “과천에 대기하고 있는 기자들이 기획처 공무원에게 면담을 신청하고 만날 시간과 장소를 정한 다음 반포동 사무실로 간다면 적어도 3∼4시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국방부 출입기자들도 성명을 내어 “당국의 허락없이 기자의 청사출입과 공무원의 대면접촉, 심지어 전화 취재까지 금지시키는 등 취재현장에서 기자들을 내몰겠다는 발상은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자유에 대한 파괴행위이자 ‘선진화’라는 허울을 쓴 반민주적 작태”라며 “정부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의 알권리와 취재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취재통제안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김영희 이경 손원제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