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규명위 10일 방한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한-일간에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양심적 지식인들이 잇따라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을 요청하고 있다.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 규명위원회’는 5일 일본 시민단체 ‘기슈광산의 진실을 밝히는 모임’이 하이난섬 학살 사건의 진상조사를 논의하기 위해 10일께 한국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하이난섬에서 학살된 조선인의 유골이 묻혀 있는 조선촌 일대가 중국의 개발업자에게 이양될 가능성이 커 조선인 유골이 훼손되기 전에 공동 조사를 벌이자고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달 18일 후쿠도메 노리아키(55)씨가 이에 대한 진상 조사를 신청했다.
하이난섬 학살 사건은 일제가 1943년 중국 최남단의 하이난섬에 2천여명이 넘는 조선인을 ‘조선보국대’로 끌고 가 비행장 건설 등에 강제로 동원한 뒤 1945년 패망하자 증거를 없애기 위해 이들을 무참히 살해한 사건을 말한다.
최봉태 규명위 사무국장은 “일본인의 진상조사 신청은 반성하지 않는 일본 정부를 대신해 일본의 양심세력들이 직접 나서 반성하는 상징적인 움직임”이라며 “현재 많은 일본 시민단체들이 진상조사 신청 의사를 밝혀오고 있다”고 말했다.
5일 현재 위원회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총 9만9393건으로, 매일 1500~2500여건씩 접수되고 있어 6일에는 1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정혁준 기자 june@hani.co.kr
“유족들에게 역사의 진실 알려야” 진상조사 첫 요청 후쿠도메씨 %%990002%%“유족들과 역사에 진실을 알려야 한다는 생각에 진상규명을 신청하게 됐습니다.” 일본인으로는 처음으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을 신청 (<한겨레> 1일치 2면)한 후쿠도메 노리아키(55)는 일본 악센트가 들어간 한국말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달 18일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 열린우리당 의원)과 일본 시민단체가 함께 연 역사문제 워크숍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에 들렀다가 강제동원진상규명위를 찾아 진상조사 요구서를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관련해 “이는 일본의 우경화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990년대 일본 경제가 장기불황을 겪게 되면서 사회적인 불만이 팽배해지자 일본 학계와 경제계의 우익들이 역사왜곡을 통해 일본의 자존심을 세우려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 역사 왜곡문제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일본 시민단체에게 힘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문헌상으로 독도는 한국 땅이 맞다”면서도 “한국에서 너무 과격하게 대응하면 일본 우익들의 힘만 키워줄 수 있다”고 우려도 나타냈다.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살고 있는 그는 ‘관부재판을 지원하는 모임’이라는 시민단체의 회원이다. 500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는 이 단체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일본 내 소송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정혁준 기자
“유족들에게 역사의 진실 알려야” 진상조사 첫 요청 후쿠도메씨 %%990002%%“유족들과 역사에 진실을 알려야 한다는 생각에 진상규명을 신청하게 됐습니다.” 일본인으로는 처음으로 일제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을 신청 (<한겨레> 1일치 2면)한 후쿠도메 노리아키(55)는 일본 악센트가 들어간 한국말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지난달 18일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회장 김희선 열린우리당 의원)과 일본 시민단체가 함께 연 역사문제 워크숍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에 들렀다가 강제동원진상규명위를 찾아 진상조사 요구서를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관련해 “이는 일본의 우경화 때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990년대 일본 경제가 장기불황을 겪게 되면서 사회적인 불만이 팽배해지자 일본 학계와 경제계의 우익들이 역사왜곡을 통해 일본의 자존심을 세우려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 역사 왜곡문제를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일본 시민단체에게 힘을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문헌상으로 독도는 한국 땅이 맞다”면서도 “한국에서 너무 과격하게 대응하면 일본 우익들의 힘만 키워줄 수 있다”고 우려도 나타냈다. 일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살고 있는 그는 ‘관부재판을 지원하는 모임’이라는 시민단체의 회원이다. 500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는 이 단체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일본 내 소송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정혁준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