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려들이 2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의 ‘10·27 법난’조사결과 발표를 주의 깊게 듣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전두환 전 대통령이 이제까지의 증언과 달리 1980년 신군부가 저지른 ‘10·27 법난’의 앞뒤 과정을 상세히 보고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과거사위)는 25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10·27 법난 사건 조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과거사위는 전 전 대통령이 1980년 12월11일 박기종 당시 정화중흥회의 의장 등 스님 8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절은 참선 등 수행을 하는 곳인데 어떻게 깡패들이 서식할 수 있느냐”는 등의 문답을 나눈 면담자료 등을 공개하고, 그가 법난에 대해 자세한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과거사위는 또 “10·27 법난은 신군부 세력에 비우호적인 월주 조계종 총무원장과 집행부에 대한 신군부의 반감에서 비롯된 계획적 수사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전 전 대통령은 1989년 국회 ‘5공비리 청문회’에서 10·27 법난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고 증언한 바 있다. 10·27 법난은 80년 10월27일 신군부 합동수사본부(합수부·본부장 노태우 보안사령관)가 불교계 정화를 명분으로 전국의 조계종 사찰·암자 5731곳을 일제히 수색하고, 스님과 불교 관련 인사 153명을 강제연행한 신군부의 대표적 종교 탄압 사건이다.
과거사위는 이날 80년 언론인 강제해직과 언론사 강제통폐합, 해직언론인 감시 등 보안사 주도의 언론통제 공작 실상을 담은 ‘신군부의 언론통제 사건 조사결과 보고서’도 함께 발표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