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청의 사할린 유전사업 참여에 따른 위험 보상 차원에서 북한산 건자재 사업권을 주려 했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에 대해, 통일부는 의아해 했다. 북한 건자재 채취사업은 통일부의 사업 승인이 필요한 품목이 아닌데다, 수송비 부담이 커 수익성도 그리 높지 않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10일 “북한산 건자재 채취사업 참여는 누가 주거나 주지 않거나 하는 게 아니라, 신청만 하면 대부분 허가가 나는 사항”이라며 “현재로선 수익성도 크지 않아, ‘보상 차원’에서 주고 말고 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산 건자재 채취사업은 2003년 한 두 차례 이뤄졌다가 중단된 뒤, 지난해부터 본격화했다”며 “사업승인이 필요없어 민간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통일부에선 계약에 필요한 북한주민 접촉신청과 운반에 필요한 트럭이나 선박 등 수송장비 통행신청이 들어오면 대부분 허가를 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현재 개성 사천강에서 모래를 채취해 육로로 운송해 오는 업체가 1개, 해주항을 통해 모래를 들여오는 업체가 5개 정도인 것으로 안다”며 “수송비 문제로 아직까지 그리 큰 수익이 나는 사업은 아니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산 건자재는 수송 문제 때문에 주로 수도권에서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지난해 수도권에서 필요한 모래 물량 가운데 북한산이 차지한 비중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던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6s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