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아무개씨의 2003년 4월 일정 메모(맨 위). 사업지분 분배 관련 내용. 박아무개씨는 ‘( ) 10%’로 돼있는 것이 왕 본부장의 지분이라 주장(가운데). 왕 본부장이 전씨 앞으로 보낸 내용증명-지하자원 개발건으로 3천여만원의 피해를 보고 있다는 내용(맨 아래)
공무원 신분 ‘자금관리’의혹에
“부동산업자에 문서 유출”주장도 왕영용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이 러시아 유전사업 이전에 건설교통부 과장 시절에 참여했던 인도네시아 철광사업에서도 비상식적인 행태를 보였다. 왕씨는 당시 공무원과 업자들의 친목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하면, 개인회사의 사업자금을 대신 관리한 의혹까지 받는 등 공무원 신분에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왕씨는 건교부 과장으로 있던 2002년 9월 무렵 인도네시아 철광개발사업과 관련해 자신의 계좌로 개인 투자자의 사업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사업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박아무개씨는 13일 “전아무개씨의 소개로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뒤 전씨가 알려준 2개 시중은행의 계좌로 각각 1000만원과 1300만원을 입금했다”며 “나중에 확인해 보니 이 계좌가 왕씨가 관리하는 계좌였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철광개발사업이 무산된 뒤 전씨에게 항의하자 이 계좌를 통해 다시 1200만원을 돌려 받았다”며 “나머지는 허문석씨를 통해 달러(1만달러)로 돌려 받았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또 지난해 11월 왕씨에게 보낸 내용증명에서 “전씨가 왕씨와 함께 철광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로비자금 명목으로 내 카드를 사용했다”며 왕씨에게 이 돈의 변제를 요구했다. 박씨는 이 사건으로 모두 6억원의 피해를 입었다며 같은 해 12월 전씨를 고소했다. 왕씨는 또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공문서를 빼돌렸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박씨는 “왕씨가 광명역사와 아산신도시 개발 사업계획, 일산의 철도청 직원아파트 건설 계획서를 전씨에게 유출시켰다”고 주장했다. 왕씨는 이에 대해 “전씨가 사무실을 수시로 방문해 내 허락도 없이 임의로 자료를 유출해 간 것”이라며 전씨를 고소했고 이 사건은 현재 서울 강서경찰서에서 수사 중이다. 왕씨는 러시아 유전사업에 대한 감사원 조사에서도 철도재단 이사장의 위임장을 위조해 전대월씨에게 120억원의 사례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부동산업자에 문서 유출”주장도 왕영용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이 러시아 유전사업 이전에 건설교통부 과장 시절에 참여했던 인도네시아 철광사업에서도 비상식적인 행태를 보였다. 왕씨는 당시 공무원과 업자들의 친목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하면, 개인회사의 사업자금을 대신 관리한 의혹까지 받는 등 공무원 신분에 어울리지 않는 행동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왕씨는 건교부 과장으로 있던 2002년 9월 무렵 인도네시아 철광개발사업과 관련해 자신의 계좌로 개인 투자자의 사업자금을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사업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박아무개씨는 13일 “전아무개씨의 소개로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뒤 전씨가 알려준 2개 시중은행의 계좌로 각각 1000만원과 1300만원을 입금했다”며 “나중에 확인해 보니 이 계좌가 왕씨가 관리하는 계좌였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철광개발사업이 무산된 뒤 전씨에게 항의하자 이 계좌를 통해 다시 1200만원을 돌려 받았다”며 “나머지는 허문석씨를 통해 달러(1만달러)로 돌려 받았다”고 주장했다. 박씨는 또 지난해 11월 왕씨에게 보낸 내용증명에서 “전씨가 왕씨와 함께 철광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로비자금 명목으로 내 카드를 사용했다”며 왕씨에게 이 돈의 변제를 요구했다. 박씨는 이 사건으로 모두 6억원의 피해를 입었다며 같은 해 12월 전씨를 고소했다. 왕씨는 또 부동산 개발업자들에게 공문서를 빼돌렸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박씨는 “왕씨가 광명역사와 아산신도시 개발 사업계획, 일산의 철도청 직원아파트 건설 계획서를 전씨에게 유출시켰다”고 주장했다. 왕씨는 이에 대해 “전씨가 사무실을 수시로 방문해 내 허락도 없이 임의로 자료를 유출해 간 것”이라며 전씨를 고소했고 이 사건은 현재 서울 강서경찰서에서 수사 중이다. 왕씨는 러시아 유전사업에 대한 감사원 조사에서도 철도재단 이사장의 위임장을 위조해 전대월씨에게 120억원의 사례금을 지급하겠다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