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발간 ‘실록 공직자 재산공개’ 보고서
“차명재산 누락”…<경향> <세계일보>도 보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자신의 소유인 도곡동 땅을 은폐했다는 내용이 담긴 언론보도와 책자 등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특히 당시 민자당이 이 당선인 등 소속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용을 검증한 뒤 보고서까지 만든 것으로 27일 확인돼, 민자당의 ‘재산공개 검증 보고서’와 언론보도 등에 대한 특검의 수사 여부가 주목된다. 국어문화운동본부 회장을 지냈던 국어학자 남영신씨가 1993년 4월 펴낸 <실록 공직자 재산공개>라는 책 325쪽을 보면, ‘부동산 감추기와 팔기’라는 제목 아래 “이명박 의원(전국구·경북 영일) (1) 85년 강남구 도곡동 165일대 나대지 1313평을 구입해 아내 김윤옥씨의 동생 재정(44살)씨 이름으로 등기해 놓고 이번 재산공개 때 이를 누락시켰다”는 대목이 나온다. 저자인 남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너무 오래된 일이라 어떤 자료를 가지고 책을 썼는지도 기억이 나지 않지만, 보고서나 보도자료 같은 공식자료에 근거해 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당선인이 ‘도곡동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했다’는 1993년 3월27일치 <경향신문>과 <세계일보> 기사가 지난해 대선 막판에 대통합민주신당에 의해 폭로된 바 있다. 이에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오래된 오보”라고 일축했었다. 이와 관련해,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던 주돈식씨는 27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1993년 당시 민자당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역을 검증하고 펴낸 보고서가 있었다”고 밝혔다. 당시 주 수석은 민자당에 설치된 ‘재산공개 진상파악 특위(위원장 권해옥)’와 함께 민자당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역을 검토했었다. 주씨는 그러나 이명박 당선인의 도곡동 땅 소유 등에 대해선 “구체적인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재산공개 진상파악 특위’의 위원장을 지낸 권해옥 전 의원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몸이 안 좋아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말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벽에 부딪힌 ‘이명박특검’ 한계 노출?
▶ 이명박특검 “한다” “안한다” 말바꾸기
▶ ‘도곡동 땅’ 의혹 풀 핵심 김만제씨 “내달초 귀국 소환 응할 것”
▶ ‘이명박 특검’ 1주일 훌쩍…도곡동 의혹 ‘자료 분석중’
“차명재산 누락”…<경향> <세계일보>도 보도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1993년 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자신의 소유인 도곡동 땅을 은폐했다는 내용이 담긴 언론보도와 책자 등이 잇따라 발견되고 있다. 특히 당시 민자당이 이 당선인 등 소속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용을 검증한 뒤 보고서까지 만든 것으로 27일 확인돼, 민자당의 ‘재산공개 검증 보고서’와 언론보도 등에 대한 특검의 수사 여부가 주목된다. 국어문화운동본부 회장을 지냈던 국어학자 남영신씨가 1993년 4월 펴낸 <실록 공직자 재산공개>라는 책 325쪽을 보면, ‘부동산 감추기와 팔기’라는 제목 아래 “이명박 의원(전국구·경북 영일) (1) 85년 강남구 도곡동 165일대 나대지 1313평을 구입해 아내 김윤옥씨의 동생 재정(44살)씨 이름으로 등기해 놓고 이번 재산공개 때 이를 누락시켰다”는 대목이 나온다. 저자인 남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너무 오래된 일이라 어떤 자료를 가지고 책을 썼는지도 기억이 나지 않지만, 보고서나 보도자료 같은 공식자료에 근거해 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이 당선인이 ‘도곡동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했다’는 1993년 3월27일치 <경향신문>과 <세계일보> 기사가 지난해 대선 막판에 대통합민주신당에 의해 폭로된 바 있다. 이에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오래된 오보”라고 일축했었다. 이와 관련해,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이었던 주돈식씨는 27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1993년 당시 민자당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역을 검증하고 펴낸 보고서가 있었다”고 밝혔다. 당시 주 수석은 민자당에 설치된 ‘재산공개 진상파악 특위(위원장 권해옥)’와 함께 민자당 의원들의 재산공개 내역을 검토했었다. 주씨는 그러나 이명박 당선인의 도곡동 땅 소유 등에 대해선 “구체적인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재산공개 진상파악 특위’의 위원장을 지낸 권해옥 전 의원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몸이 안 좋아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말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벽에 부딪힌 ‘이명박특검’ 한계 노출?
▶ 이명박특검 “한다” “안한다” 말바꾸기
▶ ‘도곡동 땅’ 의혹 풀 핵심 김만제씨 “내달초 귀국 소환 응할 것”
▶ ‘이명박 특검’ 1주일 훌쩍…도곡동 의혹 ‘자료 분석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