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상위계층의 자산점유율 추이(%)
‘20대80 사회’ 고착화…부동산 불평등이 뿌리
8년간 7%P 늘어 소득보다 집중도 뚜렷
“사회양극화 해소위해 분배 실효 거둬야” 국내 자산 상위 10%에 속하는 계층이 순자산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8년 동안 이런 부의 불평등 현상이 심화돼 왔으며, 여기에는 부동산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가계자산 분포와 불평등도의 요인별 분해’ 논문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기준으로 자산 상위 10%의 계층이 국내 순자산의 54.3%를 보유해 자산 불평등 현상이 심화됐다고 밝혔다. 1999년엔 상위 10% 계층의 자산 점유율이 46.2%였다. 순자산은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합한 것으로,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천 가구를 대상으로 경제활동 및 노동활동, 소득과 소비 등을 추적 조사하는 노동패널 조사를 매년 한 차례씩 하고 있다. 분석 결과 상위 1% 계층은 순자산의 16.7%, 상위 5%는 39.8%의 자산을 가지고 있었다. 1999년의 경우 상위 1%는 9.7%, 상위 5%는 30.9%였다. 총소득의 집중도 역시 상위 1%, 5%, 10% 계층이 1999년에는 각각 7.8%, 19.9%, 28.3%의 점유율을 보였지만, 2006년에는 각각 9.0%, 21.4%, 32.0%의 점유율을 보여 계층간 소득격차도 벌어졌다. 남 연구위원은 “순자산이 소득보다 집중되는 경향이 더 뚜렷한 이유를 분석해 보니, 부동산 자산이 불평등에 기여한 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순자산 불평등도를 구성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2006년을 기준으로 부동산이 약 93%, 금융자산이 약 12% 불평등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또 연령별로 보면 가구주가 60대인 그룹에서, 가구주가 종사하는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종에서, 직업별로 보면 전문직에서 불평등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 연구위원은 “하위 자산계층에 대한 교육지원이나 자산형성 지원 등이 실효를 거둬야 분배불평등이나 사회양극화 문제가 줄어들고 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 확충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남 연구위원은 이런 연구결과를 31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9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사회양극화 해소위해 분배 실효 거둬야” 국내 자산 상위 10%에 속하는 계층이 순자산의 절반을 넘게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8년 동안 이런 부의 불평등 현상이 심화돼 왔으며, 여기에는 부동산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가계자산 분포와 불평등도의 요인별 분해’ 논문에서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기준으로 자산 상위 10%의 계층이 국내 순자산의 54.3%를 보유해 자산 불평등 현상이 심화됐다고 밝혔다. 1999년엔 상위 10% 계층의 자산 점유율이 46.2%였다. 순자산은 부동산과 금융자산을 합한 것으로,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한국노동연구원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천 가구를 대상으로 경제활동 및 노동활동, 소득과 소비 등을 추적 조사하는 노동패널 조사를 매년 한 차례씩 하고 있다. 분석 결과 상위 1% 계층은 순자산의 16.7%, 상위 5%는 39.8%의 자산을 가지고 있었다. 1999년의 경우 상위 1%는 9.7%, 상위 5%는 30.9%였다. 총소득의 집중도 역시 상위 1%, 5%, 10% 계층이 1999년에는 각각 7.8%, 19.9%, 28.3%의 점유율을 보였지만, 2006년에는 각각 9.0%, 21.4%, 32.0%의 점유율을 보여 계층간 소득격차도 벌어졌다. 남 연구위원은 “순자산이 소득보다 집중되는 경향이 더 뚜렷한 이유를 분석해 보니, 부동산 자산이 불평등에 기여한 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순자산 불평등도를 구성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2006년을 기준으로 부동산이 약 93%, 금융자산이 약 12% 불평등도를 높였다는 것이다. 또 연령별로 보면 가구주가 60대인 그룹에서, 가구주가 종사하는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종에서, 직업별로 보면 전문직에서 불평등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 연구위원은 “하위 자산계층에 대한 교육지원이나 자산형성 지원 등이 실효를 거둬야 분배불평등이나 사회양극화 문제가 줄어들고 장기적으로 성장 잠재력 확충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남 연구위원은 이런 연구결과를 31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9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