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진술 나온 다음날 중국 출장 가려
특검팀 출금 명령…회사쪽에선 부인 삼성전기의 전직 임원이 삼성 특별검사팀에 차명계좌의 존재를 인정한 직후 이 회사의 한 고위 임원이 도피성 국외출장 길에 오르려 했다고 삼성전기 관계자가 밝혔다. 특검팀은 이 임원을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삼성전기 관계자는 31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삼성전기의 김아무개 전 상무가 차명계좌의 존재를 인정한 다음날인 29일 한 고위 임원이 급하게 중국으로 출장을 가려고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통 고위 임원의 국외출장은 한두 달 전에 계획을 세우는데, 이번에는 갑자기 출국한다고 해서 의아하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기는 또 29일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고, 압수수색에 대비한 듯 임원들에게 오후 6시 이전에 퇴근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고위 임원은 김용철 변호사가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에 넘긴 차명 의심 계좌 관련 명단에도 이름이 올라 있다. 검찰은 지난 2003년 대선자금 수사 때 이 임원의 집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삼성전기는 2001년 3월 제일기획과 삼성에스디아이 등 8개 계열사와 함께 이재용씨가 투자해 실패한 이(e)삼성 주식을 사들여, 2005년 10월 참여연대로부터 배임 등의 혐의로 고발당했다. 이 사건은 특검팀의 수사 대상에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이상표 삼성전기 상무는 “이 고위 임원은 28일 이후 출국을 하려 한 적도 없고, 삼성 특검팀으로부터 소환 통보도 받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29일에 긴급 대책회의를 열지도 않았다”고 부인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김순주(59) 삼성카드 전무와 민경춘(55) 삼성사회봉사단 전무를 불러 차명계좌 개설 경위 등을 조사했다. 삼성증권 실무자 4명도 불러 김용철 변호사 이름으로 된 차명개좌 개설 경위 등을 물었다. 하지만 삼성 쪽 참고인들은 이날도 상당수가 출석을 거부했다. 윤정석 특검보는 “나오라고 연락한 사람은 많은데, 날짜 조정을 위해 다시 연락을 주겠다고 해놓고 연락도 하지 않은 사람들이 꽤 된다”고 말했다. 윤 특검보는 “마냥 참고인들만 오라고 하다가 수사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조만간 그룹 핵심 인사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뜻을 내비쳤다. 특검팀은 또 국세청이 차명 의심 계좌를 보유한 삼성 전·현직 임직원 1천여명의 과세자료를 제출하겠다고 통보함에 따라 이를 넘겨받는 대로 검토에 들어갈 방침이다. 고제규 기자 unju@hani.co.kr
특검팀 출금 명령…회사쪽에선 부인 삼성전기의 전직 임원이 삼성 특별검사팀에 차명계좌의 존재를 인정한 직후 이 회사의 한 고위 임원이 도피성 국외출장 길에 오르려 했다고 삼성전기 관계자가 밝혔다. 특검팀은 이 임원을 출국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삼성전기 관계자는 31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삼성전기의 김아무개 전 상무가 차명계좌의 존재를 인정한 다음날인 29일 한 고위 임원이 급하게 중국으로 출장을 가려고 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보통 고위 임원의 국외출장은 한두 달 전에 계획을 세우는데, 이번에는 갑자기 출국한다고 해서 의아하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기는 또 29일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했고, 압수수색에 대비한 듯 임원들에게 오후 6시 이전에 퇴근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이 고위 임원은 김용철 변호사가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에 넘긴 차명 의심 계좌 관련 명단에도 이름이 올라 있다. 검찰은 지난 2003년 대선자금 수사 때 이 임원의 집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삼성전기는 2001년 3월 제일기획과 삼성에스디아이 등 8개 계열사와 함께 이재용씨가 투자해 실패한 이(e)삼성 주식을 사들여, 2005년 10월 참여연대로부터 배임 등의 혐의로 고발당했다. 이 사건은 특검팀의 수사 대상에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이상표 삼성전기 상무는 “이 고위 임원은 28일 이후 출국을 하려 한 적도 없고, 삼성 특검팀으로부터 소환 통보도 받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29일에 긴급 대책회의를 열지도 않았다”고 부인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김순주(59) 삼성카드 전무와 민경춘(55) 삼성사회봉사단 전무를 불러 차명계좌 개설 경위 등을 조사했다. 삼성증권 실무자 4명도 불러 김용철 변호사 이름으로 된 차명개좌 개설 경위 등을 물었다. 하지만 삼성 쪽 참고인들은 이날도 상당수가 출석을 거부했다. 윤정석 특검보는 “나오라고 연락한 사람은 많은데, 날짜 조정을 위해 다시 연락을 주겠다고 해놓고 연락도 하지 않은 사람들이 꽤 된다”고 말했다. 윤 특검보는 “마냥 참고인들만 오라고 하다가 수사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해, 조만간 그룹 핵심 인사들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뜻을 내비쳤다. 특검팀은 또 국세청이 차명 의심 계좌를 보유한 삼성 전·현직 임직원 1천여명의 과세자료를 제출하겠다고 통보함에 따라 이를 넘겨받는 대로 검토에 들어갈 방침이다. 고제규 기자 unj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