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태풍의 길목'인 제주도에 국가태풍센터가 들어서 태평양 해상에서 발생하는 태풍의 진로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됐다.
기상청은 2006년 11월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산 76의2 일대 6만5천384㎡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 연면적 1천692㎡ 규모의 국가태풍센터 건립공사에 들어가 모두 66억원을 들여 최근 완공해 다음달에 문을 열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국가태풍센터는 현재 기상청 내 태풍예보담당관에서 전담하고 있는 태풍 예보 및 분석 기능을 이관 받아 이미 관련 장비 대부분을 설치했으며 현재 4명의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다.
국가태풍센터는 18명의 연구 및 관리 인력이 모두 충원되면 북서태평양 전역에 대한 체계적인 24시간 집중 감시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한반도와 일본 남단 태평양 해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태풍정보를 하루 4차례 제공할 수 있어 원거리를 운항하는 항공기와 선박 등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까지 외국의 태풍예보 모델에 의존해 왔으나 한국형 태풍예보 모델을 추가 개발해 적용함으로써 태풍의 진로는 5일 후까지, 강도는 3일 후까지 예측할 수 있게 돼 종전보다 예측 기간이 각각 2일, 1일 연장된다.
태풍센터가 본격 가동되면 태풍을 조기에 대비할 수 있어 연평균 약 2천억원의 피해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제주도는 태평양에서 발생해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데다 중심부에 해발 1천950m의 한라산이 버티고 있어 태풍의 최종 진로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최적지로 평가되고 있다. 국가태풍센터의 강남형 사무관은 "국가태풍센터가 운영되면 한반도로 불어오는 모든 태풍을 24시간 집중 감시하고, 예보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며 "지금까지는 태풍 전문 예보관이 없었지만 국가태풍센터에는 태풍 정보만 전문으로 취급하는 예보관도 근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천 기자 khc@yna.co.kr (제주=연합뉴스)
제주도는 태평양에서 발생해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데다 중심부에 해발 1천950m의 한라산이 버티고 있어 태풍의 최종 진로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최적지로 평가되고 있다. 국가태풍센터의 강남형 사무관은 "국가태풍센터가 운영되면 한반도로 불어오는 모든 태풍을 24시간 집중 감시하고, 예보 관련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며 "지금까지는 태풍 전문 예보관이 없었지만 국가태풍센터에는 태풍 정보만 전문으로 취급하는 예보관도 근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천 기자 khc@yna.co.kr (제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