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가 섹시해? / 한겨레 블로그 라이
사실보다 우스꽝스런 기자의 섹시 강박증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 연휴 동안 별난 제목의 기사가 포털에서 관심을 끌었다. 2월 8일자 연합뉴스 보도는 지난 6일 헐리우드의 뉴스메이커인 패리스힐튼이 하버드대학 내의 유머잡지인 <하버드 램푼:Harvard Lampoon>이 시상하는 '올해의 여성상'인 '헤이스티 푸딩상(Hastiest Pudding of the Lampoon) '의 수상식 동향을 전하는 과정에서 [패리스 힐튼 "하버드는 섹시해요!"] 라는 선정적인 문장을 기사의 제목으로 정한 것이다.
그 동안 힐튼가의 상속녀로서 적절치 않은 행동으로 여러 차례 가십의 주인공이 되어왔던 패리스힐튼이 이 상의 수상자로 발표될 당시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백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하버드 램푼이 그녀를 수상자로 선정한 것에 대해서 '힐튼이 돈을 주고 상을 받았을 것이다.'라거나 '도대체 무슨 상을 받은거냐?'는 등 그녀의 수상자 선정 자체를 의아하게 생각하는 분위기가 압도적이었다.
어쨋거나 수상식에 참가한 그녀가 수상 소감을 밝히는 연설에서 "Harvard's hot !" 이라며 기쁨을 표시하자 언론이 이 발언을 기사 제목으로 뽑은 것이다. 물론 이 기사는 호사가의 가십거리에 불과한 짧은 기사였다.
그런데 이 기사가 태평양을 건너와 한국에 상륙하는 과정에서 사정이 돌변하였다. 이 기사를 최초로 보도한 연합뉴스의 기자가 힐튼의 발언 "Harvard's hot !"를 "하버드는 섹시해요"라고 오역한 것을 포털과 몇몇 언론사에서 그대로 메인 화면에 크게 보도함으로서 한국 사회에서 엉뚱하게도 하버드대의 성적 매력이 관심사로 부상 하게 된 것이다.
이 기사를 접하는 일부 누리꾼들의 반응은 '역시 힐튼 답다.'거나, 'hot'을 '섹시'로 번역하는 것이 옳다며 기사를 번역한 기자를 옹호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누리꾼들은 기자가 힐튼의 발언을 <하버드는 섹시해요.>로 번역한 것이 명백한 오역이라고 지적했으며, 한 누리꾼은 '기자의 오역이 기사의 조회수를 높이기 위한 고의적인 오역일 수도 있다.' 며 기자의 잘못을 비판했다. 기사에 댓글을 단 누리꾼들은 힐튼의 발언을 '하버드는 멋져요' 라거나, 수시로 튀는 행동을 해온 힐튼의 행동을 감안했다면 '하버드 짱이에요!'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가장 적절했을 것 이라고 지적했다. 참고로 아래는 '하버드 램푼'이 <반지의 제왕>을 패러디한 도서 <가락지의 제왕>에 소개된 램푼의 약력이다. 1876년 창설되어 125년의 역사를 가진 하버드 램푼은 처음에 7명의 하버드 대학의 학부생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문학 클럽은 학부 재학생에 의해만 운영되며, George Santayana나 John Updike 같은 유명 작가를 배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만의 전통적인 비밀 의식을 거쳐 명예 회원을 선발하는데 그 중에는 Winston Churchill, Humphrey Bogart, Bill Cosby, John Candy, Robin Williams, Malcolm Forbes 그리고 John Wayne 등이 있다. 이 클럽은 만화, 조크, 재치있는 시, 풍자 등의 형식으로 구성된 동명의 '하버드 램푼' 이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머 잡지를 발행하고 있다. 이 잡지는 처음에 하버드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초판 1,200부가 순식간에 동이 나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리고 미국 대통령 Rutherford B. Hayes는 이 잡지의 풍자가 너무 신랄하여 국정 운영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이 잡지를 읽지 말 것을 권유하기도 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하버드가 섹시해? / 한겨레 블로그 라이
이 기사를 접하는 일부 누리꾼들의 반응은 '역시 힐튼 답다.'거나, 'hot'을 '섹시'로 번역하는 것이 옳다며 기사를 번역한 기자를 옹호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누리꾼들은 기자가 힐튼의 발언을 <하버드는 섹시해요.>로 번역한 것이 명백한 오역이라고 지적했으며, 한 누리꾼은 '기자의 오역이 기사의 조회수를 높이기 위한 고의적인 오역일 수도 있다.' 며 기자의 잘못을 비판했다. 기사에 댓글을 단 누리꾼들은 힐튼의 발언을 '하버드는 멋져요' 라거나, 수시로 튀는 행동을 해온 힐튼의 행동을 감안했다면 '하버드 짱이에요!'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가장 적절했을 것 이라고 지적했다. 참고로 아래는 '하버드 램푼'이 <반지의 제왕>을 패러디한 도서 <가락지의 제왕>에 소개된 램푼의 약력이다. 1876년 창설되어 125년의 역사를 가진 하버드 램푼은 처음에 7명의 하버드 대학의 학부생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문학 클럽은 학부 재학생에 의해만 운영되며, George Santayana나 John Updike 같은 유명 작가를 배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들만의 전통적인 비밀 의식을 거쳐 명예 회원을 선발하는데 그 중에는 Winston Churchill, Humphrey Bogart, Bill Cosby, John Candy, Robin Williams, Malcolm Forbes 그리고 John Wayne 등이 있다. 이 클럽은 만화, 조크, 재치있는 시, 풍자 등의 형식으로 구성된 동명의 '하버드 램푼' 이라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머 잡지를 발행하고 있다. 이 잡지는 처음에 하버드대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초판 1,200부가 순식간에 동이 나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리고 미국 대통령 Rutherford B. Hayes는 이 잡지의 풍자가 너무 신랄하여 국정 운영에 지장이 있다는 이유로 이 잡지를 읽지 말 것을 권유하기도 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