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이건희 불법규명 국민운동’ 소속 회원들이 13일 서울 수송동 국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삼성 임원들의 납세 관련 자료를 삼성 특검에 제출하고 수사에 협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장철규 기자 chang21@hani.co.kr
‘가치네트’ 전대표 참고인 소환
이건희 삼성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 등을 수사하는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13일 이(e)삼성 주식매입 사건과 관련해 가치네트 대표이사를 맡았던 김성훈(49) 삼성에스디에스 전무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또 차명의심 계좌를 보유한 안정삼(53) 삼성전기 상무를 소환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날 김 전무를 상대로 지난 2000년 이재용(40) 삼성전자 전무가 추진했다 실패한 이(e)삼성, 이(e)삼성인터내셔널, 가치네트 등 인터넷 사업의 설립부터 정리까지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가 주도했는지를 캐물었다. 김 전무는 지난 4일 소환조사를 받은 신응환(50) 이(e)삼성 전 대표와 함께 구조본 재무팀 출신이다.
김 전무가 대표이사를 맡았던 가치네트는 지난 2000년 6월 이재용 전무가 55%, 삼성계열사인 에버랜드가 20%, 삼성에스디에스가 10%를 투자해 초기 자본금 190억원으로 설립된 금융포털 지주회사였다. 하지만 이듬해 사업전망이 없자 삼성카드, 삼성증권, 삼성캐피탈, 삼성벤처투자 등이 이 전무 보유의 가치네트 주식을 모두 사줬다. 참여연대는 지난 2005년 10월 “삼성 계열사가 이재용 전무가 투자했다 실패한 가치네트 등 이(e)삼성 관련 보유 주식을 사준 것은 배임에 해당한다”며 이 전무와 주식을 사준 계열사 임원을 모두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한편, 참여연대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5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삼성 이건희 불법규명 국민운동’은 이날 국세청을 방문해 “삼성 임원들의 과세 자료를 특검에 제출하라”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윤정석 특검보는 “국세청에서 받을 자료는 수사에 꼭 필요한 자료”라며 “국세청이 계속 자료 제출을 거부하면 강제 처분으로 확보하겠다”고 말해, 압수수색을 할 뜻을 내비쳤다.
경제개혁연대도 이날 특검 조사를 받은 삼성 전·현직 임직원 33명을 “‘차명계좌는 내 계좌’라는 거짓 진술을 통해 특검의 직무수행을 방해했다”며 특검팀에 고발했다.
고제규 기자 unj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