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전교조 “고교등급제 주도·학생 출교 주역” 비판
고대생들 “인선 반대” 회견도
고대생들 “인선 반대” 회견도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이 이명박 차기 정부의 초대 교육과학부 장관으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자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어 전 총장이 총장 재직 때 지나치게 친기업적 행보로 일관했고, 학생에게 출교라는 지나친 처벌을 한 점 등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참여연대·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15일 각각 논평을 내어 “등록금 폭등 주도, 학생 출교, 고교등급제 주창의 주역인 어 전 총장은 교육과학부 장관으로 부적절하다”며 장관 내정을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고려대 학생 10여명도 이날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어 전 총장이 교육과학부 장관이 돼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어 전 총장은 2004년 입시에서 고교 등급제를 적용했다가 교육인적자원부 재정제재를 받았다. 고교 등급제는 학생의 출신 고교별로 성적을 차등 배분하는 것으로 교육 당국이 금지한 ‘3불’ 가운데 하나다.
경영학과 교수 출신인 어 전 총장은 고려대 총장 때 기업들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학교 건물에 ‘이명박(대통령 당선인) 라운지’, ‘이학수(삼성 부회장) 강의실’을 만들기도 했다. 고려대 문과대 교수들은 당시 “대학의 상업화로 연구 활동과 교육 행위마저 상업적 생산물로 변질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어 전 총장은 400억원을 기부한 이건희 삼성 회장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주려다 구성원들과 마찰을 빚었다. 이에 항의한 학생 상당수에게 이듬해 다른 사안이 문제되자 ‘출교’라는 유례 없는 강경 처벌을 했다. 이런 영향으로 어 전 총장은 2007년 초 총장 재선에 나섰다가 교수들 다수의 반대로 총장 후보 추천에서 제외됐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