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한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이화여대에 입학했던 `늦깎이‘ 신입생 기성화(32.여)씨. 이화여대 제공
금혼학칙 폐지후 첫 입학 기성화씨 "좋은 선생님 될래요"
결혼한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이화여대에 입학했던 `늦깎이' 신입생이 4년 과정을 무사히 마치고 당당히 학사모를 쓴다.
2004년 이대 초등교육과에 입학했던 기성화(32)씨가 그 주인공.
6살 난 딸을 둔 엄마이기도 한 기씨는 오는 25일 입학 4년 만에 졸업함으로써 꿈에 그리던 초등학교 교사의 길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기씨는 함께 입학했던 또다른 기혼자 전영미(36.약학부)씨가 휴학해 첫 기혼신입생 중 가장 먼저 졸업장을 받게 됐다.
1998년 대학을 졸업하고 한 공기업에서 장애인 치료교육 업무를 맡았던 기씨는 교사의 꿈을 버리지 못하고 결혼 이듬해인 2002년 말 남편과 상의한 끝에 직장을 뛰쳐나와 대입 준비를 시작했다.
그러나 10여 년 만에 다시 잡은 교과서는 만만하지 않았다.
재수학원에 등록하고 열 살 가까이 차이 나는 '동생'들과 함께 공부를 시작했지만 성적은 좀처럼 오르지 않았고 수능을 6개월 앞둔 2003년 5월에는 첫 딸을 출산했다.
"주위에서는 안정적인 직장을 버리고 힘든 길을 택한다고 많이 반대했어요. 하지만 '하고 싶은 일을 하라'며 용기를 준 남편 덕분에 힘을 얻었죠." 결국 노력이 결실을 맺어 2003년 금혼학칙을 폐지한 이화여대에서 '기혼여성 첫 입학'이라는 기록과 함께 늦깎이 신입생이 됐지만 학과 공부는 수능준비보다 더 어려웠다. 기씨가 예전에 대학을 다닐 때는 조별 발표가 있을 때면 함께 모여 준비했지만 요즘 학생들은 직접 얼굴을 맞대기보다는 주로 인터넷 채팅으로 토론을 하는 바람에 적응이 쉽지 않았다. 또 리포트를 제출할 때도 책 한 권 분량으로 엄청나게 준비해오는 학생들을 보면 기가 죽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4년 간 무엇보다 기씨를 힘들게 한 건 아이에게 충분한 사랑을 주지 못했다는 것. 기씨는 "시골에 계시던 친정어머니께서 올라와 아이를 봐주셨는데 아이가 조금씩 크면서 엄마랑 떨어지기 싫어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너무 힘들었다"며 "그래도 입학할 때 돌도 지나지 않던 아이가 이제 6살이 돼 유치원에 가게 됐다"며 뿌듯해 했다. 기씨는 임용고사에서 아쉽게 탈락의 고배를 마셨지만 교사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다. "대학 1학년 때 지도교수님을 찾아뵌 적이 있는데 제 손을 꼭 잡아주면서 교사는 참 좋은 직업이고 보람된 직업이니까 힘들더라도 참고 끝까지 해보라고 말씀해 주셨어요. 교사의 꿈은 포기할 수 없죠." 기씨는 "빨리 임용고사에 합격해 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싶다"며 "순수하고 솔직한 저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는게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병조 기자 kbj@yna.co.kr (서울=연합뉴스)
"주위에서는 안정적인 직장을 버리고 힘든 길을 택한다고 많이 반대했어요. 하지만 '하고 싶은 일을 하라'며 용기를 준 남편 덕분에 힘을 얻었죠." 결국 노력이 결실을 맺어 2003년 금혼학칙을 폐지한 이화여대에서 '기혼여성 첫 입학'이라는 기록과 함께 늦깎이 신입생이 됐지만 학과 공부는 수능준비보다 더 어려웠다. 기씨가 예전에 대학을 다닐 때는 조별 발표가 있을 때면 함께 모여 준비했지만 요즘 학생들은 직접 얼굴을 맞대기보다는 주로 인터넷 채팅으로 토론을 하는 바람에 적응이 쉽지 않았다. 또 리포트를 제출할 때도 책 한 권 분량으로 엄청나게 준비해오는 학생들을 보면 기가 죽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4년 간 무엇보다 기씨를 힘들게 한 건 아이에게 충분한 사랑을 주지 못했다는 것. 기씨는 "시골에 계시던 친정어머니께서 올라와 아이를 봐주셨는데 아이가 조금씩 크면서 엄마랑 떨어지기 싫어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너무 힘들었다"며 "그래도 입학할 때 돌도 지나지 않던 아이가 이제 6살이 돼 유치원에 가게 됐다"며 뿌듯해 했다. 기씨는 임용고사에서 아쉽게 탈락의 고배를 마셨지만 교사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다. "대학 1학년 때 지도교수님을 찾아뵌 적이 있는데 제 손을 꼭 잡아주면서 교사는 참 좋은 직업이고 보람된 직업이니까 힘들더라도 참고 끝까지 해보라고 말씀해 주셨어요. 교사의 꿈은 포기할 수 없죠." 기씨는 "빨리 임용고사에 합격해 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싶다"며 "순수하고 솔직한 저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는게 바람"이라고 말했다. 김병조 기자 kbj@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