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황창규 사장이 19일 오후 서울 한남동 삼성특검 사무실에 출두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 사장 등 계열사 전.현직 임원 8명 ‘줄소환’ 조사
황창규 삼성전자 사장 등 계열사 전.현직 임원 8명 `줄소환' 조사
삼성그룹 비자금 의혹 등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국세청으로부터 이건희 삼성 회장 일가의 과세자료를 제출받아 검토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특검팀은 전날 오후 국세청으로부터 이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전무, 이부진 신라호텔 상무 등의 재산 내역과 주식 변동ㆍ부동산 거래 등에 대한 보유세ㆍ증여세 등 납세자료를 제출받았다.
특검팀은 자료를 토대로 이 회장 일가의 재산형성 과정과 계열사 보유주식 변동내역, 납세내역 등을 면밀히 분석해 불법 비자금 운용이나 경영권 승계에 관여한 흔적이 없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영장이 기각됐던 부동산 거래내역과 스톡옵션 자료 등 이 회장측 일부 과세자료에 대해 추가 영장을 청구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 중이다.
윤정석 특검보는 "자료 요청을 해서는 안 되니까 압수수색영장을 받아야 하는 관계가 됐는데, 추후 필요한 게 있는지 여부는 판단을 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이기태 삼성전자 부회장 등 고위 임원 4명을 소환한 데 이어 이날도 계열사 전.현직 임원 8명을 불러 차명계좌 개설 및 비자금 조성ㆍ관리 의혹과 경영권 불법승계 의혹을 조사했다.
오전에는 삼성종합화학 전 임원 등 2명이 나와 조사를 받았고 오후에는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과 조관래 삼성SDS 전 이사, 정영만 삼성화재 자동차보험총괄 전무 등이 출두했다. 황 사장은 플래시 메모리의 집적도가 해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내용의 메모리 신성장론인 `황의 법칙'을 발표하고 매년 이를 입증해 온 전문 경영인으로, 이날 차명계좌 개설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받았다.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 사건의 피고발인 신분인 조 전 이사를 제외한 출석자들은 참고인으로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전.현직 임원 2천453명 명의의 계좌 추적을 위해 삼성증권 전산센터를 9일째 압수수색하는 한편 분식회계를 통한 비자금 조성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삼성물산 등 5개 계열사의 회계감사 보고서를 분석 중이다. 이와 함께, 삼성물산이 2004년 상장을 앞둔 카자흐스탄 자원개발업체 지분을 시가에 훨씬 못미치는 가격에 `헐값 매각'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삼성물산 출신의 매각 상대방인 이 업체 전 대표 차모씨의 납세자료를 국세청에 요구하는 등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주영 안희 이한승 기자 zoo@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전에는 삼성종합화학 전 임원 등 2명이 나와 조사를 받았고 오후에는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과 조관래 삼성SDS 전 이사, 정영만 삼성화재 자동차보험총괄 전무 등이 출두했다. 황 사장은 플래시 메모리의 집적도가 해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내용의 메모리 신성장론인 `황의 법칙'을 발표하고 매년 이를 입증해 온 전문 경영인으로, 이날 차명계좌 개설 의혹과 관련해 조사를 받았다. `삼성SDS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저가발행' 사건의 피고발인 신분인 조 전 이사를 제외한 출석자들은 참고인으로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전.현직 임원 2천453명 명의의 계좌 추적을 위해 삼성증권 전산센터를 9일째 압수수색하는 한편 분식회계를 통한 비자금 조성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삼성물산 등 5개 계열사의 회계감사 보고서를 분석 중이다. 이와 함께, 삼성물산이 2004년 상장을 앞둔 카자흐스탄 자원개발업체 지분을 시가에 훨씬 못미치는 가격에 `헐값 매각'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삼성물산 출신의 매각 상대방인 이 업체 전 대표 차모씨의 납세자료를 국세청에 요구하는 등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임주영 안희 이한승 기자 zoo@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