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인도제철소 건설과정서 발생한 갈등
포스코가 인도 오릿사주에 제철소를 짓는 과정에서 현지 주민의 이주 문제 등 인권침해 시비가 일자 국내 시민단체들이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권과 평화를 위한 국제민주연대’ 등 13개 시민사회단체들은 19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인도 오리사주 정부가 포스코 제철소 건설부지의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키는 과정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에 대해 포스코가 책임지고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고 주장했다.
포스코는 2005년 인도 오리사주 주정부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12년까지 12조원을 투자해 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제철소 건설 계획이 알려지자 오리사주 주민 과반수가 생존권 보장 등을 이유로 토지수용과 이주를 거부했고 제철소 건설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주민들이 의견 충돌을 빚으면서 지난해에만 크고 작은 폭력사태를 네 차례 빚었고, 포스코 직원들이 세 차례 억류되기도 했다. 국제 엠네스티는 지난해 5월 인도 오리사주 주정부의 강제 퇴거와 그 과정에서 빚어진 폭력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이주를 반대하는 마을 중 가장 큰 규모인, 250가구 1천여명이 사는 ‘딩키아’에서 이주에 찬성하는 주민들이 시위천막 등을 철거하기 위해 마을로 난입하면서 다툼이 벌어져 이주 반대 주민 60여명이 다치는 일도 일어났다.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상임활동가는 “4월1일부터 제철소 건설이 본격화되면 혼란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필규 변호사(공익변호사그룹 공감)는 “평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해 왔던 포스코가 사업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노력만 할 것이 아니라 주정부가 제철소 건설 반대 주민들과 공개적이고 민주적인 대화에 나서도록 사업 당사자로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상춘 포스코 홍보팀장은 “오리사주 주정부가 보상 협상을 하고 비용만 우리가 부담하는 것”이라며 “폭력 사태는 사실과 다르고, 갈등을 조장하는 외부세력이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