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무력화’ 삼성에 2차 경고
이학수 부회장에 ‘경고’ 불구 “바뀐 것 없다” 판단
‘비자금 3인방’ 최도석 소환…김인주도 곧 부를듯 지난달 30일 삼성의 수사 방해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던 삼성 특별검사팀이 또다시 삼성의 수사 비협조를 비판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20일 기자들과 만나 “삼성의 힘이 돈의 권력에서 나오는지 그동안 인맥을 잘 관리해서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삼성이라는 집단의 내재적인 힘에 의해 이뤄지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보통 사건과 달리 수사를 해 나가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하면 수사받는 처지에서 소극적으로 나오는 것은 당연하지만, 증거를 숨기고 없애는 등 아예 수사를 무력화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특검팀의 이런 비판은 지난 14일 이학수 부회장을 불러 ‘경고’했음에도 삼성의 태도가 전혀 바뀌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 부회장 소환은 삼성의 수사 무력화에 대한 대책으로 불러 여러 가지 얘기를 나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회장 소환 이후 삼성의 태도가 달라졌느냐’는 질문에 “(삼성이) 달라진 것 같냐?”고 되물었다. 삼성은 이 부회장 소환 이후 겉으로는 수사에 협조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사장, 이기태 삼성전자 부회장 등 그동안 출석을 미뤘던 그룹 핵심 임원들이 잇따라 나왔지만, 이들은 “차명 의심 계좌는 내 계좌”라는 똑같은 진술만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차명 의심 계좌의 명의자를 불러 조사하는 한편, 이학수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 등 비자금을 조성·관리한 의혹을 받고 있는 핵심 인사들의 소환 일정을 앞당길 방침이다. 특검팀이 이날 최도석 삼성전자 경영촐괄 사장을 소환조사한 것은 이런 방침의 신호탄으로 보인다. 최 사장은 이 부회장, 김인주 사장과 함께 ‘제일모직 경리팀’ 출신으로 그룹에서 비자금을 다루는 ‘3인방’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1980년부터 삼성전자의 안살림을 도맡아 관리한 최 사장은 해외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최 사장은 또 삼성의 국세청 로비를 맡은 핵심 임원으로 지목돼, 특검팀의 불법 로비 의혹 수사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용철 변호사는 “최도석 사장, 최외홍 삼성전자 부사장, 이선종 삼성전자 전무가 국세청 로비를 담당했고 최 사장이 주로 국세청 고위직을 맡았다”며 “검찰 간부는 떡값으로 한번에 500만∼2000만원씩 받았는데, 국세청 간부는 ‘0’이 하나 더 붙었다”고 말했다. 고제규 기자 unju@hani.co.kr
이학수 부회장에 ‘경고’ 불구 “바뀐 것 없다” 판단
‘비자금 3인방’ 최도석 소환…김인주도 곧 부를듯 지난달 30일 삼성의 수사 방해를 공개적으로 비난했던 삼성 특별검사팀이 또다시 삼성의 수사 비협조를 비판하고 나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20일 기자들과 만나 “삼성의 힘이 돈의 권력에서 나오는지 그동안 인맥을 잘 관리해서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삼성이라는 집단의 내재적인 힘에 의해 이뤄지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보통 사건과 달리 수사를 해 나가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압수수색을 하면 수사받는 처지에서 소극적으로 나오는 것은 당연하지만, 증거를 숨기고 없애는 등 아예 수사를 무력화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특검팀의 이런 비판은 지난 14일 이학수 부회장을 불러 ‘경고’했음에도 삼성의 태도가 전혀 바뀌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 부회장 소환은 삼성의 수사 무력화에 대한 대책으로 불러 여러 가지 얘기를 나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회장 소환 이후 삼성의 태도가 달라졌느냐’는 질문에 “(삼성이) 달라진 것 같냐?”고 되물었다. 삼성은 이 부회장 소환 이후 겉으로는 수사에 협조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 총괄사장, 이기태 삼성전자 부회장 등 그동안 출석을 미뤘던 그룹 핵심 임원들이 잇따라 나왔지만, 이들은 “차명 의심 계좌는 내 계좌”라는 똑같은 진술만 반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특검팀은 차명 의심 계좌의 명의자를 불러 조사하는 한편, 이학수 부회장과 김인주 사장 등 비자금을 조성·관리한 의혹을 받고 있는 핵심 인사들의 소환 일정을 앞당길 방침이다. 특검팀이 이날 최도석 삼성전자 경영촐괄 사장을 소환조사한 것은 이런 방침의 신호탄으로 보인다. 최 사장은 이 부회장, 김인주 사장과 함께 ‘제일모직 경리팀’ 출신으로 그룹에서 비자금을 다루는 ‘3인방’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1980년부터 삼성전자의 안살림을 도맡아 관리한 최 사장은 해외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의혹도 받고 있다. 최 사장은 또 삼성의 국세청 로비를 맡은 핵심 임원으로 지목돼, 특검팀의 불법 로비 의혹 수사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용철 변호사는 “최도석 사장, 최외홍 삼성전자 부사장, 이선종 삼성전자 전무가 국세청 로비를 담당했고 최 사장이 주로 국세청 고위직을 맡았다”며 “검찰 간부는 떡값으로 한번에 500만∼2000만원씩 받았는데, 국세청 간부는 ‘0’이 하나 더 붙었다”고 말했다. 고제규 기자 unj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