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택(왼쪽) 삼성에스디아이 사장과 최도석(가운데) 삼성전자 사장이 20일 오후 서울 한남동의 삼성 특검 사무실로 들어서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수사 비협조’에 2차 경고
“‘삼성은 법 밖에 있다’ 상당히 작용하는 듯”
임원과 가족 · 친지등 3090명 계좌추적 착수 이건희 삼성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 등을 수사하는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20일 “삼성은 국가기관을 자신들이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며 삼성의 수사 비협조를 거듭 비판했다. 특검팀은 삼성이 임원들의 가족까지 동원해 비자금을 관리한 정황을 잡고, 차명 의심 계좌를 보유한 삼성 전·현직 임원과 이들의 가족·친지 등 3090명의 계좌 압수수색 영장을 받아 계좌추적 작업에 들어갔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다른 기업들은 수사·재판·정책이나 과세 당국 등 국가기관 쪽에 지배를 당하는데, 삼성은 오히려 거꾸로 자신들이 국가기관을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검팀에서 관련자 소환 통보를 하면 이에 불응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사를) 무력화시키고 있다. ‘삼성은 법 밖에 있다’는 식으로까지 얘기되는데, 그런 점이 (이번 수사에) 상당히 작용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특검팀은 삼성증권 등의 계좌 압수수색을 통해 삼성 전·현직 임원 1700~1800명과 관련된 차명 의심 계좌 3700~3800개를 추려내, 이들 계좌가 비자금 조성과 관리용 차명계좌인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특본)로부터 삼성 전·현직 임원 200여명 이름으로 개설된 차명 의심 계좌 480여개를 넘겨받아 추적을 했다”며 “임원 명의의 차명 의심 계좌에서 가지를 쳐 나간 계좌들 중에는 임원들의 가족이나 친구 등의 계좌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의 다른 관계자는 “이렇게 확인된 전·현직 임원과 이들의 가족 등 차명 의심 계좌 보유자 3090명의 계좌추적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현금으로 첫 거래가 이뤄졌고 △삼성 계열사 주식만 거래됐으며 △1원 단위까지 전액 인출된 뒤 폐쇄된 계좌 등을 차명 의심 계좌로 보고 있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들 계좌 가운데는 차명이 아닌 본인 계좌인 것도 있을 수 있고, 일부 임원의 수는 중복 계산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특검팀은 최도석(59) 삼성전자 사장과 이(e)삼성 관련 주식매입 사건의 피고발인인 김순택(59) 삼성에스디아이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최 사장은 김용철(50) 변호사가 “국세청 로비를 담당했다”고 지목한 이로, 삼성 비자금 관리의 핵심인물로 알려졌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겉으론 협조 ‘연출’ 하면서 “내 계좌다” 앵무새 진술만
▶ ‘삼성 비자금 의심’ 300억 이명희 회장 계좌로 유입
▶ 조서 안받은 ‘이학수 조사’ 뒷말 무성
▶ 조준웅 특검이 직접 이학수 출석 요구
“‘삼성은 법 밖에 있다’ 상당히 작용하는 듯”
임원과 가족 · 친지등 3090명 계좌추적 착수 이건희 삼성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 등을 수사하는 조준웅 특별검사팀은 20일 “삼성은 국가기관을 자신들이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며 삼성의 수사 비협조를 거듭 비판했다. 특검팀은 삼성이 임원들의 가족까지 동원해 비자금을 관리한 정황을 잡고, 차명 의심 계좌를 보유한 삼성 전·현직 임원과 이들의 가족·친지 등 3090명의 계좌 압수수색 영장을 받아 계좌추적 작업에 들어갔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 “다른 기업들은 수사·재판·정책이나 과세 당국 등 국가기관 쪽에 지배를 당하는데, 삼성은 오히려 거꾸로 자신들이 국가기관을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검팀에서 관련자 소환 통보를 하면 이에 불응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사를) 무력화시키고 있다. ‘삼성은 법 밖에 있다’는 식으로까지 얘기되는데, 그런 점이 (이번 수사에) 상당히 작용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특검팀은 삼성증권 등의 계좌 압수수색을 통해 삼성 전·현직 임원 1700~1800명과 관련된 차명 의심 계좌 3700~3800개를 추려내, 이들 계좌가 비자금 조성과 관리용 차명계좌인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검찰 특별수사·감찰본부(특본)로부터 삼성 전·현직 임원 200여명 이름으로 개설된 차명 의심 계좌 480여개를 넘겨받아 추적을 했다”며 “임원 명의의 차명 의심 계좌에서 가지를 쳐 나간 계좌들 중에는 임원들의 가족이나 친구 등의 계좌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의 다른 관계자는 “이렇게 확인된 전·현직 임원과 이들의 가족 등 차명 의심 계좌 보유자 3090명의 계좌추적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현금으로 첫 거래가 이뤄졌고 △삼성 계열사 주식만 거래됐으며 △1원 단위까지 전액 인출된 뒤 폐쇄된 계좌 등을 차명 의심 계좌로 보고 있다. 특검팀 고위 관계자는 “이들 계좌 가운데는 차명이 아닌 본인 계좌인 것도 있을 수 있고, 일부 임원의 수는 중복 계산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특검팀은 최도석(59) 삼성전자 사장과 이(e)삼성 관련 주식매입 사건의 피고발인인 김순택(59) 삼성에스디아이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최 사장은 김용철(50) 변호사가 “국세청 로비를 담당했다”고 지목한 이로, 삼성 비자금 관리의 핵심인물로 알려졌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겉으론 협조 ‘연출’ 하면서 “내 계좌다” 앵무새 진술만
▶ ‘삼성 비자금 의심’ 300억 이명희 회장 계좌로 유입
▶ 조서 안받은 ‘이학수 조사’ 뒷말 무성
▶ 조준웅 특검이 직접 이학수 출석 요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