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UH-1H 헬기가 용문산에 추락한 것은 야간 저고도 비행과 기상악화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육군이 21일 공개한 사고헬기 조종사 간 대화록에 `저고도' 및 `구름'이라는 말이 몇 차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종사 신기용(44) 준위와 부조종사 황갑주(35) 준위는 20일 오전 1시가 지나 사고 현장인 용문산을 통과하면서 "계기비행으로 전환하시지요. 계속 구름 속을 지나고 있습니다. 고도 올리세요. 2천 피트, 3천 피트(약 1천여m)..(대화 끝김)"라는 대화를 나눴다.
어느 쪽의 음성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고도를 올리라는 말과 함께 2천 피트로, 3천 피트로 고도를 계속 높였음이 드러남에 따라 용문산에 접근하던 헬기의 고도는 2천 피트가 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헬기가 추락한 지점은 용문산 9부 능선(1천여m)이어서 헬기는 고도를 3천 피트로 올리는 순간 추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헬기 조종사들은 주간에 해발 1천157m의 용문산을 지날 때면 고도를 용문산 정상보다 낮게 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사고 헬기도 주간때 처럼 저고도 비행을 했던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양평의 군부대에서 복무를 했다는 한 예비역은 "용문산은 평소 구름이나 안개가 많이 끼는 지역"이라며 "군복무 시절 그 지역의 헬기 평균비행 높이를 생각해보면 그 지역의 산보다 낮게 날곤 했다. 순간적으로 안개지역으로 들어서면서 산에 충돌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대부분의 UH-1H 헬기와 마찬가지로 위성항법장치(GPS)도 없었던 사고 헬기가 야간에 특히, 산 세가 험한 지형에 접근하면서 저고도 비행을 택한 것은 여전히 의문점으로 남는다.
기상상황이 나쁠 경우 서울에서 홍천으로 가기 위해 용문산이 아닌 6번 국도와 44번 국도를 따라 안전하게 돌아가도록 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더구나 안개나 구름이 많을 경우 헬기는 매뉴얼에 따라 구름 위를 날도록 돼 있다는 것. 이에 육군 관계자는 "비행 전 기상상태는 시계 5마일로 저고도 비행이 가능한 상태였으며 헬기가 수도병원에서 복귀할 때의 기상상태도 이와 동일했다"며 "조종사가 날씨가 좋을 것으로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일부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UH-1H를 제외하고는 GPS를 장착한 UH-1H 헬기는 없다"고 덧붙였다. 또 용문산 정상에 국지적인 구름 또는 짙은 안개가 사고에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군 관계자들도 부인하지 않고 있다. 조종사들도 용문산을 통과하면서 "아직도 구름 속을 지나고 있다. 계속 구름 속을 지나고 있습니다. 고도 올리세요"라는 대화를 나눠 기상상황이 좋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이 때문에 헬기 조종사가 저고도를 유지하면서 용문산에 안개가 끼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비행하던 중 갑작스럽게 안개 속으로 들어가면서 순식간에 방향을 잃어 추락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헬기 1대가 단독비행을 할 때는 계획된 항로를 유지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비행한다"고 말했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 (서울=연합뉴스)
기상상황이 나쁠 경우 서울에서 홍천으로 가기 위해 용문산이 아닌 6번 국도와 44번 국도를 따라 안전하게 돌아가도록 돼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더구나 안개나 구름이 많을 경우 헬기는 매뉴얼에 따라 구름 위를 날도록 돼 있다는 것. 이에 육군 관계자는 "비행 전 기상상태는 시계 5마일로 저고도 비행이 가능한 상태였으며 헬기가 수도병원에서 복귀할 때의 기상상태도 이와 동일했다"며 "조종사가 날씨가 좋을 것으로 판단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일부 특수임무를 수행하는 UH-1H를 제외하고는 GPS를 장착한 UH-1H 헬기는 없다"고 덧붙였다. 또 용문산 정상에 국지적인 구름 또는 짙은 안개가 사고에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군 관계자들도 부인하지 않고 있다. 조종사들도 용문산을 통과하면서 "아직도 구름 속을 지나고 있다. 계속 구름 속을 지나고 있습니다. 고도 올리세요"라는 대화를 나눠 기상상황이 좋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이 때문에 헬기 조종사가 저고도를 유지하면서 용문산에 안개가 끼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비행하던 중 갑작스럽게 안개 속으로 들어가면서 순식간에 방향을 잃어 추락했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헬기 1대가 단독비행을 할 때는 계획된 항로를 유지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조종사의 판단에 따라 비행한다"고 말했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