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 다른 소방관이 같이 있었더라면.."
일산소방서 장항안전센터 소속 조동환(45) 소방장은 26일 오전 2시50분께 고양시 일산서구 문봉동의 한 골프연습장에 불이 났다는 신고를 받고 화재 진압에 나섰다가 사고를 당했다.
화재 현장에서 3Km 거리에 위치한 식사지역대는 2명의 소방대원이 2교대로 24시간씩 근무하는 속칭 '나홀로 119센터'.
지역대에는 의용소방대가 조직돼 있기는 하지만 법적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조 소방장은 이날도 혼자 근무하다 화재 신고가 들어오자 직접 펌프차량를 몰고 현장으로 달려왔다.
현장에 가장 먼저 출동한 조 소방장은 3시4분께 도착한 중산안전센터 소방대원 5명에게 소방호스를 넘겨줬으며 불이난 건물 옆 동 3층에 소화전이 설치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 곳에 들어가 소화전에 호스를 연결했다.
화재 진압에는 안전을 위해 2명이 조를 이뤄 투입하도록 돼 있었지만 조 소방장은 불길이 다른 건물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단독으로 화재 현장에 진입을 시도했다.
소화전이 있던 건물은 증축 공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불이난 건물과 폭 90cm, 길이 1.8m의 간이 목조 패널로 연결돼 있었고 조 소방장은 건물 3층에 설치된 이 패널을 통해 소방호스를 들고 화재 현장으로 들어가려다 10m 아래로 떨어졌다.
두 건물 사이의 지하 바닥에 쓰러져 있던 조 소방장이 발견된 것은 3시52분께. 화재 진화 후 뒤늦게 동료 소방관들에 의해 발견된 조 소방장은 병원으로 옮기던 중 숨을 거뒀다. 1991년 소방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조 소방관은 부인(41)과의 사이에 13살과 11살 짜리 남매를 두고 있다. 일산소방서의 한 동료 소방관은 "같이 근무한 직원이 있었더라면 사고를 방지하거나 신속히 응급 처치를 실시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안타까워했다. 순직한 조동환 소방장은 소방위로 1계급 특진이 추서된다. 한편 경기도 소방공무원수는 5천346명으로 이는 법정 인력에 61.3%에 그치며 전국 평균(83%)과 비교해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산소방서는 화재 위험이 많거나 소방안전센터와 거리가 먼 3곳에 2명이 2교대로 1인 24시간 근무를 하는 지역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북부 지역에서는 총 37개의 지역대 중 32곳이 '나홀로 119센터'다. 5일 개소한 가평소방서도 5개 지역대를 운영하고 있는 데 이 가운데 상.북면 지역대에는 각각 2명만 배치된 상태다. 경기도 제2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나홀로 지역대'는 매일 오전 9시 직원 2명이 맞교대를 해 상황 발생시 혼자 차를 몰로 출동한다"며 "올해 양주소방서와 연천소방대서가 신설돼 다른 지역에서 인원이 차출되면 맞교대 지역대가 늘어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도윤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 (의정부.고양=연합뉴스)
두 건물 사이의 지하 바닥에 쓰러져 있던 조 소방장이 발견된 것은 3시52분께. 화재 진화 후 뒤늦게 동료 소방관들에 의해 발견된 조 소방장은 병원으로 옮기던 중 숨을 거뒀다. 1991년 소방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조 소방관은 부인(41)과의 사이에 13살과 11살 짜리 남매를 두고 있다. 일산소방서의 한 동료 소방관은 "같이 근무한 직원이 있었더라면 사고를 방지하거나 신속히 응급 처치를 실시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면서 안타까워했다. 순직한 조동환 소방장은 소방위로 1계급 특진이 추서된다. 한편 경기도 소방공무원수는 5천346명으로 이는 법정 인력에 61.3%에 그치며 전국 평균(83%)과 비교해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일산소방서는 화재 위험이 많거나 소방안전센터와 거리가 먼 3곳에 2명이 2교대로 1인 24시간 근무를 하는 지역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경기북부 지역에서는 총 37개의 지역대 중 32곳이 '나홀로 119센터'다. 5일 개소한 가평소방서도 5개 지역대를 운영하고 있는 데 이 가운데 상.북면 지역대에는 각각 2명만 배치된 상태다. 경기도 제2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나홀로 지역대'는 매일 오전 9시 직원 2명이 맞교대를 해 상황 발생시 혼자 차를 몰로 출동한다"며 "올해 양주소방서와 연천소방대서가 신설돼 다른 지역에서 인원이 차출되면 맞교대 지역대가 늘어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도윤 강병철 기자 soleco@yna.co.kr (의정부.고양=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