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관계에 대해서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발언을 아껴오던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이례적으로 한국노총 위원장의 취임을 환영하는 논평을 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경련은 28일 '한국노총 장석춘 위원장 취임 관련 논평'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을 통해 "장 위원장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경제계는 신임 노총 위원장이 취임사에서 노동계가 경제살리기에 앞장서는 경제주체가 될 것이고, 투쟁을 앞세우기보다는 국민경제와 기업성장을 위해 적극 협력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명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특히 "신임 위원장이 대립과 반대 위주의 노사관계를 대화와 참여의 노사관계로 바꾸겠다면서 경제살리기에 앞장서는 책임있는 경제주체가 되겠다는 결단을 내린 데 대해 높이 평가한다"면서 노사화합을 위해 경제계도 노력할 것임을 다짐했다.
전경련은 그동안 노사관계에 대한 연구나 관련제도 개선건의 활동은 나름대로 해 왔지만 노사문제 현안에 대한 입장표명은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미루고 발언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한국노총 위원장의 취임에 관해 논평을 낸 것도 전경련 역사상 처음이라고 전경련 관계자는 전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장 위원장이 밝힌 노사관계나 경제살리기에 관한 입장이 시대적 상황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노사화합의 새 이정표를 세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환영 논평의 형식으로 전경련의 공식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경제단체의 관계자는 "전경련이 경제단체들 가운데 '리더'임을 강조하기 위해 그동안 언급을 자제해 왔던 노사 현안에 대해서도 발언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해석하기도 했다. 전경련이 치고 나가자 '라이벌'인 대한상공회의소도 비슷한 논조의 논평을 냈다. 대한상의는 "장 위원장이 취임사를 통해 새 정부의 핵심적인 과제인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살리기를 최우선적인 일로 인식하고 이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은 노동운동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것으로 이를 적극 환영한다"고 전경련과 목소리를 같이 했다. 대한상의는 한 발 더 나아가 "한국의 대표적인 노동조합 지도부가 과도한 임금인상 자제와 투쟁적인 노동운동의 전환 등을 공언한 것은 선진 노사관계의 정착에 기여함은 물론 대외신인도 제고를 통한 외국인투자 유치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믿으며 이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의 취임을 계기로 노사 화합과 단결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우리 경제가 선진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다 함께 힘을 모아나가자"고 제안했다. 한국노총의 '파트너' 격인 경총 역시 장 위원장의 취임에 대해 환영성명을 냈다. 경총은 "장석춘 위원장이 '대립'과 '투쟁'의 노사관계를 '대화'와 '참여'의 노사관계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노동계 스스로 대기업 근로자들의 임금자제에 노력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매우 의미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경총은 그러나 "(노총이 주장하는) 노조전임자 임금보장 문제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본다"고 선을 그어 '환영 일색'인 전경련, 대한상의의 논평과는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재계 관계자는 "이례적으로 전경련까지 포함해 경제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온건, 합리적 성향의 장 위원장 취임을 환영하고 노사관계 화합을 기대하는 논평을 낸 것은 새 정부의 경제살리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노사문제의 해결이 관건이라는 재계의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그러나 다른 경제단체의 관계자는 "전경련이 경제단체들 가운데 '리더'임을 강조하기 위해 그동안 언급을 자제해 왔던 노사 현안에 대해서도 발언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나름대로 해석하기도 했다. 전경련이 치고 나가자 '라이벌'인 대한상공회의소도 비슷한 논조의 논평을 냈다. 대한상의는 "장 위원장이 취임사를 통해 새 정부의 핵심적인 과제인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 살리기를 최우선적인 일로 인식하고 이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은 노동운동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준 것으로 이를 적극 환영한다"고 전경련과 목소리를 같이 했다. 대한상의는 한 발 더 나아가 "한국의 대표적인 노동조합 지도부가 과도한 임금인상 자제와 투쟁적인 노동운동의 전환 등을 공언한 것은 선진 노사관계의 정착에 기여함은 물론 대외신인도 제고를 통한 외국인투자 유치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믿으며 이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의 취임을 계기로 노사 화합과 단결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기업경쟁력 강화라는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이를 통해 우리 경제가 선진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다 함께 힘을 모아나가자"고 제안했다. 한국노총의 '파트너' 격인 경총 역시 장 위원장의 취임에 대해 환영성명을 냈다. 경총은 "장석춘 위원장이 '대립'과 '투쟁'의 노사관계를 '대화'와 '참여'의 노사관계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노동계 스스로 대기업 근로자들의 임금자제에 노력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표현한 점에 대해서는 매우 의미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경총은 그러나 "(노총이 주장하는) 노조전임자 임금보장 문제는 새로운 패러다임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본다"고 선을 그어 '환영 일색'인 전경련, 대한상의의 논평과는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재계 관계자는 "이례적으로 전경련까지 포함해 경제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온건, 합리적 성향의 장 위원장 취임을 환영하고 노사관계 화합을 기대하는 논평을 낸 것은 새 정부의 경제살리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노사문제의 해결이 관건이라는 재계의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