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앞바다 기름유출 사고를 일으킨 삼성중공업이 피해주민을 위한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29일 오전 삼성중공업 김징완 사장(맨앞)이 서울 서초동 삼성중공업 본사 기자 간담회장에 들어서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김징완 사장 대책 발표..생태계 복원 참여, 사회공헌활동도 전개
"법적인 피해보상과는 별도"
"법적인 피해보상과는 별도"
충남 태안 앞바다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를 일으킨 삼성중공업은 피해지역 주민들을 위해 1천억원의 지역발전기금을 출연키로 했다.
또 정부의 생태계 복원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해당지역의 어촌마을 자매결연과 소외계층 후원 등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하고 서해안 일대에 휴양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김징완 삼성중공업 사장은 29일 서울 서초동 삼성중공업 본사에서 이와 같은 기름유출 피해주민 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김 사장은 "오늘 이사회를 소집해 1천억원 출연 등 지원대책에 대해 의결했다"면서 "피해대책을 빨리 내놓으라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와 주주가치를 지켜야 한다는 상충된 목표 사이에서 고민했으나 주주들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결국 기업가치를 높이는 길이라는 데 동의할 것으로 생각해 이런 대책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지역발전기금 1천억원 출연에 대해 "우리의 경영능력 등을 감안할 때 마련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금액"이라면서 "주민들과 사전 논의한 바 없어 어떻게 받아들여질 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기금은 법적 보상과는 별도이며 주민들에 대한 개별적.직접적인 보상보다는 지역발전을 통한 간접지원에 쓰일 전망이다.
김 사장은 "기름유출 피해에 대한 법적 보상은 유조선측 보험사와 국제기금이 일단 지불한 뒤 법적 책임에 따라 우리에게 구상권을 청구하게 된다"면서 "피해주민에 대해 우리가 개별보상을 하게 될 경우 유조선사와 보험사의 배상액에서 그만큼이 차감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법적 절차에 의한 보상에는 최소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1천억원을 내놓기로 한 것이라고 김 사장은 설명했다. 김 사장은 "기금의 구체적인 출연시기와 방법, 용처 등에 대해서는 정부의 관련 부서가 확정되면 상의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마련한 '기름오염 사고 피해주민의 지원 및 해양 환경 복원 등에 관한 특별법'은 국무총리 산하 위원회가 피해지역 주민 대책 업무를 총괄하도록 돼 있다. 1천억원 기금 출연 이외의 대책에 관해 김 사장은 "우선 정부의 장기 생태계 복원에 적극 참여하겠다"면서 "그동안 방제를 위한 자원봉사에도 적극 참여해왔지만 앞으로의 생태계 복원은 5년, 10년의 장기구상을 갖고 정부가 추진할 것이며 삼성중공업은 이에 필요한 장비와 물품 등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그룹 사회봉사단과 연계해 서해 100여개 어촌마을과 자매결연을 체결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지역내 소년소녀 가장, 독거노인 등 소외계층 후원 등 사회공헌활동도 지속적으로 벌여나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소개했다. 또 서해안 지역에 하계휴양소를 설치하고 이 시설의 활용을 지원해 많은 임직원 들이 찾도록 함으로써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겠다고 김 사장은 밝혔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사고이후 연인원 5만1천여명이 방제작업에 참여했고 방제장비 조달, 호박.쌀.고구마 등 지역특산물 구입과 숙박료 등으로 32억원 상당을 지원했으며 충남지역에 사업장을 둔 그룹계열사들이 50억원을 충남도에 기탁하는 등 피해지역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했다. 그동안 지역주민과 정부당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주민피해 보상에 대해서는 "법적 절차와 법원의 판단에 따르겠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해 왔던 삼성중공업이 고심 끝에 이 같은 대책을 내놓음에 따라 지역주민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또 법적 절차에 의한 보상에는 최소 1년 이상이 소요될 것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1천억원을 내놓기로 한 것이라고 김 사장은 설명했다. 김 사장은 "기금의 구체적인 출연시기와 방법, 용처 등에 대해서는 정부의 관련 부서가 확정되면 상의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마련한 '기름오염 사고 피해주민의 지원 및 해양 환경 복원 등에 관한 특별법'은 국무총리 산하 위원회가 피해지역 주민 대책 업무를 총괄하도록 돼 있다. 1천억원 기금 출연 이외의 대책에 관해 김 사장은 "우선 정부의 장기 생태계 복원에 적극 참여하겠다"면서 "그동안 방제를 위한 자원봉사에도 적극 참여해왔지만 앞으로의 생태계 복원은 5년, 10년의 장기구상을 갖고 정부가 추진할 것이며 삼성중공업은 이에 필요한 장비와 물품 등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그룹 사회봉사단과 연계해 서해 100여개 어촌마을과 자매결연을 체결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지역내 소년소녀 가장, 독거노인 등 소외계층 후원 등 사회공헌활동도 지속적으로 벌여나갈 것"이라고 향후 계획을 소개했다. 또 서해안 지역에 하계휴양소를 설치하고 이 시설의 활용을 지원해 많은 임직원 들이 찾도록 함으로써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겠다고 김 사장은 밝혔다. 한편 삼성중공업은 사고이후 연인원 5만1천여명이 방제작업에 참여했고 방제장비 조달, 호박.쌀.고구마 등 지역특산물 구입과 숙박료 등으로 32억원 상당을 지원했으며 충남지역에 사업장을 둔 그룹계열사들이 50억원을 충남도에 기탁하는 등 피해지역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했다. 그동안 지역주민과 정부당국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주민피해 보상에 대해서는 "법적 절차와 법원의 판단에 따르겠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해 왔던 삼성중공업이 고심 끝에 이 같은 대책을 내놓음에 따라 지역주민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추왕훈 기자 cwhyna@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