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지역에서 서울시로 들어오는 승용차 10대 가운데 8대 이상은 `나홀로 차량'인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2006년 6월부터 작년 12월까지 경기도.인천시와 함께 수도권 주민 26만 가구를 대상으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를 조사한 결과, 서울시계로 유입되는 승용차의 81.7%가 `나홀로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근시간대(오전 7시∼9시)의 경우 서울시로 들어오는 유입차량의 87.5%가 `나홀로 차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경기.인천지역에서 서울시를 드나드는 차량의 통행비율은 버스 등 대중교통이 52.6%, 승용차가 37.5%를 차지해 서울시내의 차량 통행비율(대중교통 66.3%, 승용차 21.7%)과 비교해 승용차의 유.출입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내에서의 교통수단별 분담률은 버스 27.6%, 지하철.철도 34.7% 등으로 대중교통 분담률이 62.3%나 됐으며, 이어 승용차 26.3%, 택시 6.3% 등의 순이었다.
서울시내 대중교통의 분담률은 2002년 조사 때와 비교할 때 대중교통의 경우 1.7% 늘어난 반면 승용차와 택시는 각각 0.6%, 1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2004년 중앙 버스전용차로제 도입 등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라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늘어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내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났지만 수도권 지역에서 서울시내로 들어오는 승용차들이 많아 적극적인 교통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확대하는 등 대중교통 중심의 광역교통기반시설을 확충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성규 기자 moonsk@yna.co.kr (서울=연합뉴스)
문성규 기자 moonsk@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