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등 설문조사…"20% 자살 충동 경험"
기름 유출사고로 태안 지역의 피해 주민 절반 이상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시민단체에 의해 공개됐다.
녹색연합과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은 지난달 16-17일 태안주민 325명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에 관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인 170명이 우울증과 강박장애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4일 밝혔다.
자신이 겪은 증상을 모두 고르게 한 결과 응답자 중 `우울' 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41.5%인 131명이나 됐으며 `강박 장애'와 `신체화장애'에 대한 응답률도 각각 34.6%와 26.8%였다.
`불안'과 `분열' 증세에 대한 응답률은 각각 24.9%와 24.7%이었는데 이들 증상 외에 `대인관계의 민감성', `적대', `공포', `망상'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해당하는 증상을 1가지 이상 겪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57%인 181명이었다.
한편 `최근 1주일 동안 죽고싶다는 생각을 한 적 있는지'를 묻는 항목에서는 응답자의 63명에 해당하는 20.5%가 `있다'고 대답했으며 이들 중 `기름유출사고 이후 경제적 문제'를 자살 충동의 이유로 꼽은 경우가 88.9%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한림의대 주영수(환경의학) 교수의 주관으로 의료진 20여명, 보건의료계열 학생 80여명이 조사자로 참여해 진행됐으며 조사 대상자에는 방제작업에 참여하지 않은 주민들도 20%(65명) 포함됐다.
방제작업에 참여한 주민들의 87.3%는 `기름 덩어리나 기름이 묻은 물건을 맨손으로 만졌다'고 답했으며 29.2%와 25.8%는 각각 `오염된 해수나 기름이 튀어 눈에 들어갔다', `기름으로 오염된 바닷물을 맨손으로 만졌다'고 대답해 원유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빈도가 높았다. 이로 인해 69.8%가 `입맛없음' 증상을 경험했으며 56%와 56.2%는 각각 `메스꺼움', `어지러움'을 느낀 적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또 `눈따가움' 증상과 `기침'을 경험한 경우도 51.2%와 50.6%나 됐다. 응답자들은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문제로 `지역주민 기초생계 지원'(43.7%), `유류 오염지역의 방제 및 복구작업 지원'(23.7%), `정부의 선보상'(22.8%)을 꼽았다. 녹색연합 등은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주민들이 입은 피해가 심각하지만 피해배상을 받기 위해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며 "정부 차원에서 민ㆍ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피해 집계와 피해 증거자료 수집, 배상청구 업무를 진행하는 지휘본부를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방제작업에 참여한 주민들의 87.3%는 `기름 덩어리나 기름이 묻은 물건을 맨손으로 만졌다'고 답했으며 29.2%와 25.8%는 각각 `오염된 해수나 기름이 튀어 눈에 들어갔다', `기름으로 오염된 바닷물을 맨손으로 만졌다'고 대답해 원유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빈도가 높았다. 이로 인해 69.8%가 `입맛없음' 증상을 경험했으며 56%와 56.2%는 각각 `메스꺼움', `어지러움'을 느낀 적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또 `눈따가움' 증상과 `기침'을 경험한 경우도 51.2%와 50.6%나 됐다. 응답자들은 시급하게 해결돼야 할 문제로 `지역주민 기초생계 지원'(43.7%), `유류 오염지역의 방제 및 복구작업 지원'(23.7%), `정부의 선보상'(22.8%)을 꼽았다. 녹색연합 등은 "기름유출사고로 인해 주민들이 입은 피해가 심각하지만 피해배상을 받기 위해 필요한 증거를 수집하는 노력은 부족한 편이다"며 "정부 차원에서 민ㆍ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피해 집계와 피해 증거자료 수집, 배상청구 업무를 진행하는 지휘본부를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병규 기자 bkkim@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