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철을 맞아 농촌지역의 노인들이 논.밭의 해충을 없애기 위해 불을 놓다 잇따라 화(禍)를 당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9일 낮 12시16분께 전북 고창군 고창읍 안동마을 뒷산에서 이 마을에 사는 이모(76) 할머니가 밭두렁을 태우다 연기에 질식해 숨졌다.
전날 오후 2시21분께 전남 담양군 봉서리에서도 밭두렁에서 짚을 태우던 김모(84) 할머니가 불을 끄다 화상을 입었고, 비슷한 시각 담양군 대사면에서도 김모(73) 할머니가 논두렁에서 불을 끄려다 화상을 입기도 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이들이 논.밭두렁을 태우다 불이 인근 야산 등으로 번지자 이를 막으려다 연기에 질식돼 숨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이 이처럼 불을 놓다 종종 화를 당하는 것은 노인의 특성상 젊은 사람들에 비해 판단력이 떨어지고 행동이 느린 것은 물론 면역체계가 약하기 때문으로 소방당국은 풀이하고 있다.
전북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실외에서 발생한 불은 풍향에 따라 순식간에 불길의 방향이 바뀌지만 노인들은 판단력이 흐려 주로 앞쪽 방향의 진화에만 열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불길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불 속에 갇혀 화를 입는다.
또 노인들은 혼자 진화하면서 체력을 소진한데다 불 속에 갇히면서 크게 당황, 불과 연기를 피해 대피할 수 있는 체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도 화를 입는 큰 이유다.
이밖에 다른 화학제품과 달리 불이 붙은 잡초나 잡목 등은 유해 화학물질이 많지는 않지만 그 자체에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어 정면으로 연기를 마실 경우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에게는 치명적이다.
도 소방본부는 "논.밭두렁이나 산에서 불이 나더라도 노인들은 혼자 불을 끄려 하지 말고 일단 대피하는 것이 상책"이라면서 "농민의 상식과는 달리 병해충 방제를 위해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오히려 천적을 없애 병해충의 확산을 불러오고 산불을 유발하는 만큼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고창=연합뉴스)
도 소방본부는 "논.밭두렁이나 산에서 불이 나더라도 노인들은 혼자 불을 끄려 하지 말고 일단 대피하는 것이 상책"이라면서 "농민의 상식과는 달리 병해충 방제를 위해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오히려 천적을 없애 병해충의 확산을 불러오고 산불을 유발하는 만큼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고창=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