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a납품단가 현실화 및 관급자재 입찰참여 확대촉구를 위한 궐기대회%!^a에서 레미콘 업계 관계자들이 %!^a적정가격 보장%!^a을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건설업계는 "공급 차질 단호히 대처"
레미콘 조합은 12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레미콘 가격의 인상과 관급공사의 입찰방식 개선을 촉구하고 이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건설업계도 공급 중단 등의 조치에는 강경 대처하겠다는 입장이어서 협상에 적지 않은 난항이 예상된다.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시멘트가 지난해 대비해 30%, 자갈은 26% 정도 가격이 올랐지만 레미콘 가격은 2004년부터 제조원가를 밑돌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에 따라 2005년부터 쌓이기 시작한 적자는 한계상황에 이르러 여러 업체가 도산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조합은 또한 "관급 공사의 경우 단체수의계약에서 경쟁입찰로 바뀐 뒤 입찰수량제한이 없어지고 법에서 정한 분리발주가 현실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일부 레미콘업체만이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합은 이에 따라 ▲레미콘 가격을 원자재가격 변동과 연동해 적정가격을 보장하고 ▲국가기관 등에서 공사용 자재의 직접구매를 확대하는 한편 ▲관급 입찰수량을 전년 대비 110%로 제한해 다수의 레미콘 업체의 참여 기회 보장을 요구했다.
레미콘 조합은 특히 건설사 대기업 임원급과 대화할 수 있는 협의체가 구성돼 가격 협상이 원만히 이뤄지길 희망했다.
그러나 이 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19일부터 무기한으로 생산 중단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중소 레미콘업체 670개 업체가 가입하고 있는 이들 조합은 전체 레미콘 물량의 60%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고 조합 측이 밝히고 있어, 생산중단이 시작돼 장기간 지속될 경우 건설업계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ㆍ경인 레미콘조합 배조웅 이사장은 "현재 상황에서 레미콘 가격이 ㎥당 최소한 12% 오르지 않을 경우 저급 골재를 사용해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부득이 생산을 중단할 수 밖에 없다"며 "관급 공사의 경우도 적정 가격을 받지 못할 경우 납품을 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레미콘조합 소속 임직원 500여명은 이날 오후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궐기대회를 가졌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레미콘 업체들의 어려움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공급 중단 등의 집단 행동에는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건설회사의 자재 구매담당자들의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이정훈 회장은 "레미콘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양측이 합리적인 대화로 풀어나가야 하며 협상에 응할 의향도 있다"며 "다만 서민들의 집을 담보로 레미콘 공급을 중단해 공사에 차질을 빚게 된다면 이는 절대 용납할 수 없고 엄중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격 인상 폭은 물론 시기를 놓고도 양측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 협상이 이뤄진다 해도 타협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이 회장은 "레미콘 가격은 지난해 4%(서울.수도권 기준)를 인상하면서 올해 8월 31일까지 현 가격체계를 유지하기로 약정이 돼 있다"며 "1년도 못돼 또다시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또 "건설업계도 철근값 등 다른 원자재값 인상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가격 인상을 하더라도 당초 약정대로 9월부터 적용해야 한다는 게 건설업계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미숙 구정모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중소 레미콘업체 670개 업체가 가입하고 있는 이들 조합은 전체 레미콘 물량의 60%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고 조합 측이 밝히고 있어, 생산중단이 시작돼 장기간 지속될 경우 건설업계에 적지 않은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ㆍ경인 레미콘조합 배조웅 이사장은 "현재 상황에서 레미콘 가격이 ㎥당 최소한 12% 오르지 않을 경우 저급 골재를 사용해 부실시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부득이 생산을 중단할 수 밖에 없다"며 "관급 공사의 경우도 적정 가격을 받지 못할 경우 납품을 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레미콘조합 소속 임직원 500여명은 이날 오후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궐기대회를 가졌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레미콘 업체들의 어려움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공급 중단 등의 집단 행동에는 단호히 대처하겠다는 입장이다. 건설회사의 자재 구매담당자들의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 이정훈 회장은 "레미콘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양측이 합리적인 대화로 풀어나가야 하며 협상에 응할 의향도 있다"며 "다만 서민들의 집을 담보로 레미콘 공급을 중단해 공사에 차질을 빚게 된다면 이는 절대 용납할 수 없고 엄중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격 인상 폭은 물론 시기를 놓고도 양측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 협상이 이뤄진다 해도 타협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이 회장은 "레미콘 가격은 지난해 4%(서울.수도권 기준)를 인상하면서 올해 8월 31일까지 현 가격체계를 유지하기로 약정이 돼 있다"며 "1년도 못돼 또다시 인상을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또 "건설업계도 철근값 등 다른 원자재값 인상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가격 인상을 하더라도 당초 약정대로 9월부터 적용해야 한다는 게 건설업계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서미숙 구정모 기자 sms@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