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방역망 가동...막대한 피해 예상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다시 발생하자 전북도와 김제시는 망연자실한 표정을 감추지 못한 채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
전북도 방역당국은 김제시 용지면의 산란계(알 낳는 닭) 농장의 닭 폐사 원인이 3일 밤 고병원성 AI로 최종 판정되자 곧바로 비상 방역체제에 들어갔다.
방역당국은 먼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방역 망을 기존의 AI 발생 농장에서 반경 10km의 '경계지역'으로 확대하고 방역활동을 대폭 강화했다.
이에 따라 반경 3km 이내의 위험지역에서는 가금류, 차량, 사람의 이동 및 출입이 제한되고 10km 이내의 '경계지역'에서도 가금류 등의 출입이 부분적으로 통제되고 있다.
방역당국은 또 이날 농수산식품부에서 열린 가축방역협의회의 결정에 따라 4일부터 반경 500m 이내 '오염지역'의 가금류에 대한 살(殺)처분 작업에 들어가기로 하고 밤새 인력 및 장비 확보 대책 등을 논의했다.
오염지역 내에는 AI 발생농장의 산란계 15만 마리를 포함, 모두 5개 농장에 27만 마리의 닭과 오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전북도와 김제시는 방역협의회가 일단 살처분 범위를 반경 500m 이내로 최소화하기로 했으나 이 지역이 도내 최대 규모의 양계단지라는 점에서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지역 이미지가 실추되고 농산물 판매가 급감하는 등의 간접적 피해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북도 박정배 축산경영과장은 "용지면 일대는 도내 최대 규모의 닭 사육단지여서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겨울철이 지나 안도했는데 갑작스럽게 고병원성 AI가 발생해 허탈하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백도인 기자 doin100@yna.co.kr (전주=연합뉴스)
전북도와 김제시는 방역협의회가 일단 살처분 범위를 반경 500m 이내로 최소화하기로 했으나 이 지역이 도내 최대 규모의 양계단지라는 점에서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지역 이미지가 실추되고 농산물 판매가 급감하는 등의 간접적 피해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북도 박정배 축산경영과장은 "용지면 일대는 도내 최대 규모의 닭 사육단지여서 피해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겨울철이 지나 안도했는데 갑작스럽게 고병원성 AI가 발생해 허탈하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백도인 기자 doin100@yna.co.kr (전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