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관계자 소환 대출경위도 추궁
유전개발 의혹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홍만표)는 20일 이 사업이 추진될 당시 철도청장이었던 김세호(52) 건설교통부 차관의 집을 압수수색했다. 김 차관은 그동안 “유전개발 사업에 직접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해 왔으나, 이 사업을 주도한 왕영용(49) 사업개발본부장 등한테서 관련 보고를 받은 사실들이 드러나 감사원으로부터 수사의뢰된 상태다.
검찰은 이날 왕 본부장의 근무처인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 특수사업처 사무실과 다른 관계자 2명의 집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또 이날 철도재단에 유전사업 계약금 65억원을 대출해준 우리은행 관계자를 불러 대출 경위와 이 과정에서 외압은 없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검찰은 이와 함께 지난 2003년 철도청보다 앞서 권씨로부터 유전사업 참여 제의를 받았던 석유공사 관계자들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당시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와 유전사업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전날 소환조사한 뒤 돌려보냈던 권광진(52) 쿡에너지 사장도 다시 불러 관련 의혹들을 캐물었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는 압수수색한 자료를 분석하고, 참고인 진술을 통해 수사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는 단계”라며 “이들을 통해 사실관계가 확정되면 핵심 관련자들을 부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왕씨 측근, 정부 미는 사업이라며 대출 요구” 검찰, 첩보 입수…은행쪽 외압 부인
김세호 차관 개입단서 포착 가능성 철도공사의 유전사업 관련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20일 사할린 유전인수 계약금 620만달러를 대출해준 우리은행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함에 따라, 이번 사건의 핵심 의혹 중 하나인 대출외압의 실체가 드러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은행의 대출과정은 철도공사가 고유 영역과 무관한 유전사업에 뛰어든 것과 함께 정치권의 외압이 작용했을 개연성이 있는 대목으로 꼽혀왔다. 특히 우리은행 쪽이 애초 ‘실사 후 대출’ 원칙에서 ‘즉시 대출’로 방침을 바꿔 재단에 대출을 해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혹이 더욱 증폭된 상태다. 은행관계자들은 일단 관련 의혹에 대해 “철도공사의 요청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외압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청의 확약이 있었던 만큼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철도공사가 대출금을 변제할 것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검찰 관계자는 “은행 쪽은 대출이 정당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 점이 있다”고 말해 따져볼 대목이 있음을 비쳤다. 검찰은 이와 함께 왕 본부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박상조 전 철도재단 본부장이 지난해 11월 초 유전사업 계약이 깨지기 직전, ㅈ·ㅅ 시중은행 등을 돌아다니며 “정부에서 밀어주는 사업”으로 과장해 6천만달러를 대출해줄 것을 요구하고 다녔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경위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이 이날 김세호 건교부 차관의 집을 압수수색한 것도 현직 차관에 대한 전격적인 압수수색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김 차관은 감사원의 수사요청 대상자에 포함돼 있긴 하지만, 왕 본부장한테서 몇차례 의례적인 보고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던 만큼, 검찰이 김 차관이 이 사건에 직접 개입한 단서를 잡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검찰은 신광순 차장과 왕 본부장이 감사원에서 지난해 8월12일 열린 정책심의회 결과를 김 차관에게 보고한 뒤 회의 결과에 대해 승낙을 받았다고 진술한 것이나, 왕 본부장이 전대월씨 등에 대한 120억원 사례비 요구 사실을 보고하고 승락을 받았다고 주장한 대목들에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왕씨 측근, 정부 미는 사업이라며 대출 요구” 검찰, 첩보 입수…은행쪽 외압 부인
김세호 차관 개입단서 포착 가능성 철도공사의 유전사업 관련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20일 사할린 유전인수 계약금 620만달러를 대출해준 우리은행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함에 따라, 이번 사건의 핵심 의혹 중 하나인 대출외압의 실체가 드러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은행의 대출과정은 철도공사가 고유 영역과 무관한 유전사업에 뛰어든 것과 함께 정치권의 외압이 작용했을 개연성이 있는 대목으로 꼽혀왔다. 특히 우리은행 쪽이 애초 ‘실사 후 대출’ 원칙에서 ‘즉시 대출’로 방침을 바꿔 재단에 대출을 해준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혹이 더욱 증폭된 상태다. 은행관계자들은 일단 관련 의혹에 대해 “철도공사의 요청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외압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청의 확약이 있었던 만큼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철도공사가 대출금을 변제할 것으로 판단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검찰 관계자는 “은행 쪽은 대출이 정당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은 점이 있다”고 말해 따져볼 대목이 있음을 비쳤다. 검찰은 이와 함께 왕 본부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박상조 전 철도재단 본부장이 지난해 11월 초 유전사업 계약이 깨지기 직전, ㅈ·ㅅ 시중은행 등을 돌아다니며 “정부에서 밀어주는 사업”으로 과장해 6천만달러를 대출해줄 것을 요구하고 다녔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경위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검찰이 이날 김세호 건교부 차관의 집을 압수수색한 것도 현직 차관에 대한 전격적인 압수수색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김 차관은 감사원의 수사요청 대상자에 포함돼 있긴 하지만, 왕 본부장한테서 몇차례 의례적인 보고만 받은 것으로 알려졌던 만큼, 검찰이 김 차관이 이 사건에 직접 개입한 단서를 잡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검찰은 신광순 차장과 왕 본부장이 감사원에서 지난해 8월12일 열린 정책심의회 결과를 김 차관에게 보고한 뒤 회의 결과에 대해 승낙을 받았다고 진술한 것이나, 왕 본부장이 전대월씨 등에 대한 120억원 사례비 요구 사실을 보고하고 승락을 받았다고 주장한 대목들에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춘재 기자 c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