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암서도 의심사례 신고
정읍 영원면에서 네 번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이 확인됐다.
또 전남 영암 등 10곳에서 의심 사례가 속속 보고됨에따라 이번 AI 사태가 '진정'보다는 '추가 확산' 쪽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7일 신고된 정읍 영원면 소재 오리농가의 폐사 원인을 조사한 결과 'H5형' AI 바이러스를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농식품부측은 "완전한 혈청형이 나오려면 시간이 좀 더 걸리지만, 고병원성이 거의 확실시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고병원성 AI 발병이 최종 확인된 곳은 전북 김제(4일 확진)와 정읍 영원면(7일) 및 고부면(8일), 다시 영원면 농가까지 모두 네 곳으로 늘었다.
이번 4차 발생 농가는 같은 영원면의 2차 발생 농가로부터 2.7㎞ 떨어진 고기용 오리 사육 농장이다.
방역 당국은 이미 영원 2차 농장과 3차 고부 농장의 반경 3㎞안 9개 농장, 15만여 오리를 예방 차원에서 모두 살처분한만큼, 4차 발생 농장에 대한 살처분도 완료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방역 당국은 현재 전북의 순창(4일 신고), 정읍 영원.교부.교암(8일)과 김제 용지 다섯 농가(9일), 전남 영암 신북(9일) 등 10곳의 감염 의심 사례에 대해 고병원성 AI 여부를 조사 중이다. 방역 당국은 앞으로 추가 발생 지점이 기존 발생 농장의 10㎞안 '경계지역'을 벗어날지, 전북이 아닌 영암 등 전남 지역으로까지 확대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전남 영암의 경우 2차 영원 농장에서 신고전 도축장으로 오리를 실어나른 차량 5대가 출입한 지역으로, 만약 이 영암 농장 폐사 원인이 AI로 밝혀지면 지금까지 전북 지역에 국한됐던 AI가 사실상 본격 확산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봐야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9일 오후 3시 현재 살처분된 닭과 오리는 모두 52만4천마리, 폐기된 달걀은 2천330만2천개로 지금까지의 살처분 등 보상금 예상액만 75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아울러 방역 당국은 현재 전북의 순창(4일 신고), 정읍 영원.교부.교암(8일)과 김제 용지 다섯 농가(9일), 전남 영암 신북(9일) 등 10곳의 감염 의심 사례에 대해 고병원성 AI 여부를 조사 중이다. 방역 당국은 앞으로 추가 발생 지점이 기존 발생 농장의 10㎞안 '경계지역'을 벗어날지, 전북이 아닌 영암 등 전남 지역으로까지 확대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전남 영암의 경우 2차 영원 농장에서 신고전 도축장으로 오리를 실어나른 차량 5대가 출입한 지역으로, 만약 이 영암 농장 폐사 원인이 AI로 밝혀지면 지금까지 전북 지역에 국한됐던 AI가 사실상 본격 확산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봐야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9일 오후 3시 현재 살처분된 닭과 오리는 모두 52만4천마리, 폐기된 달걀은 2천330만2천개로 지금까지의 살처분 등 보상금 예상액만 75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