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서경대 연구팀 "체내 쌓이면 두통·경련·정신착란"
시판중인 식물성 염색약에 중금속의 하나인 망간이 법적 기준치의 갑절 이상 들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망간은 몸에 쌓이면 두통, 근육통, 경련, 정신착란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최재욱 교수,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조진아 교수 팀은 시판되는 염색약 중 판매량이 많은 국내 7개사와 외국 5개사 등 모두 36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 성분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식물성 염색약의 대표 격인 ‘헤나’ 성분 염색약 2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 망간 함유량이 42.7ppm으로 나와 법적 기준치(20ppm)의 두 배를 초과했다. 이런 수치는 화학물질을 합성한 산화형 염색약(0.09ppm)보다 무려 470배에 이른다. 또다른 중금속인 납 성분도 산화형 염색약의 평균 검출 농도가 0.40ppm인 반면 식물성 염색약은 0.58ppm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염색약 사용에 따른 미용사와 소비자들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연구팀이 미용사 4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염색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응답했다. 부작용은 위장·소화 장애, 안구 건조, 피부질환 등의 차례였다. 일반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산화형 염색약 사용자의 27%, 탈색제 사용자의 17%, 식물성 염색약 사용자의 5%가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중금속 농도가 높은 염색약이 팔리는 것은 국내법상 해외 2개국의 판매 증명서만 있으면 시판이 가능한데다 대부분의 제품이 보건 기준이 낮은 개발도상국에서 수입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재욱 교수는 “염색약에 함유된 중금속은 접촉성 피부염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며 “특히 잦은 염색이나 부주의한 염색약 사용은 심한 모발 손상은 물론 피부 접촉 때 구토, 천식, 통증, 간이나 신장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시판중인 식물성 염색약에 중금속의 하나인 망간이 법적 기준치의 갑절 이상 들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망간은 몸에 쌓이면 두통, 근육통, 경련, 정신착란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최재욱 교수, 서경대 미용예술학과 조진아 교수 팀은 시판되는 염색약 중 판매량이 많은 국내 7개사와 외국 5개사 등 모두 36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 성분을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식물성 염색약의 대표 격인 ‘헤나’ 성분 염색약 2개 제품을 분석한 결과 망간 함유량이 42.7ppm으로 나와 법적 기준치(20ppm)의 두 배를 초과했다. 이런 수치는 화학물질을 합성한 산화형 염색약(0.09ppm)보다 무려 470배에 이른다. 또다른 중금속인 납 성분도 산화형 염색약의 평균 검출 농도가 0.40ppm인 반면 식물성 염색약은 0.58ppm으로 높았다. 이에 따라 염색약 사용에 따른 미용사와 소비자들의 부작용도 만만치 않았다. 연구팀이 미용사 4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절반이 ‘염색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응답했다. 부작용은 위장·소화 장애, 안구 건조, 피부질환 등의 차례였다. 일반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산화형 염색약 사용자의 27%, 탈색제 사용자의 17%, 식물성 염색약 사용자의 5%가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중금속 농도가 높은 염색약이 팔리는 것은 국내법상 해외 2개국의 판매 증명서만 있으면 시판이 가능한데다 대부분의 제품이 보건 기준이 낮은 개발도상국에서 수입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최재욱 교수는 “염색약에 함유된 중금속은 접촉성 피부염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며 “특히 잦은 염색이나 부주의한 염색약 사용은 심한 모발 손상은 물론 피부 접촉 때 구토, 천식, 통증, 간이나 신장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