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재교육자 13명 가운데 77% 직위해제
`현장시정지원단' 배속자 102명 중 57%만 `생환'
`현장시정지원단' 배속자 102명 중 57%만 `생환'
서울시가 지난해 도입한 `현장시정지원단'에 배속돼 1차 교육에서 성적이 나빠 2차로 재교육을 받은 13명의 `무능.불성실 공무원' 가운데 77%인 10명이 추가로 퇴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4월 구성된 현장시정지원단에 배속된 전체 직원 102명 중 1차 교육 및 2차 재교육을 통해 최종적으로 58명(57%)만 부서에 복귀했으며 나머지 44명(43%)은 직위해제나 자진퇴직 등으로 사실상 `퇴출'됐다.
서울시는 13일 "지난해 10월 현장시정지원단 직원들에 대한 교육 평가에서 나쁜 성적을 받아 2차로 6개월 간 재교육을 받은 13명의 직원 가운데 77%인 10명을 직위해제하고 3명(23%)만 이달 정기인사에서 부서에 재배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해 4~10월 실시된 현장시정지원단 1단계 교육이 끝날 때 근무능력향상이나 태도변화가 부족하다고 판단된 13명을 대상으로 2차로 지난해 10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간 재교육을 실시했다.
시 관계자는 "6개월간의 재교육에도 불구하고 업무복귀를 위한 태도개선 노력이 부족하고 직무능력도 개선되지 않아 업무수행능력이 현저히 부족한 상태라고 판단된 10명에 대해서는 최근 열린 서울시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직위해제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직위해제된 직원들에게는 지방공무원법에 따라 3개월의 대기명령이 내려지며 대기명령 기간 중 '특단의 능력회복이나 근무성적의 향상'이 이뤄지지 않는 한 서울시 인사위원회의 동의를 얻어 자동 면직된다.
근무능력과 태도변화 노력 개선정도가 크다고 판단된 재교육자 3명은 이달에 있을 정기인사에서 보직을 부여받아 부서에 재배치된다.
이번 인사조치를 포함해 지난해 4월 도입한 서울시 현장시정지원단의 1년 운영결과 현장시정지원단에 배속됐던 총 102명의 직원 중 57%인 58명은 부서재배치로 현업에 복귀했으며 43%인 44명은 면직(18명), 자진퇴직.정년퇴직(12명), 직위해제(10명), 휴직(4명) 등으로 직무에서 배제돼 퇴출됐다.
시 관계자는 "현장시정지원단 운영으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조직 내에 빠르게 퍼졌고 업무처리에 있어 무사안일.불성실.불친절 사례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며 "매년 초 정기인사 때마다 현장시정지원단을 구성.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시 관계자는 "현장시정지원단 운영으로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조직 내에 빠르게 퍼졌고 업무처리에 있어 무사안일.불성실.불친절 사례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며 "매년 초 정기인사 때마다 현장시정지원단을 구성.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