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찰강화.자동경보시스템 구축..중요 시설물 안전대책도 강화
서울시는 숭례문 방화사건을 계기로 흥인지문 등 중요문화재에 24시간 상주인력을 배치해 근무토록 하고 자동경보시스템을 확충하는 등 문화재 보호대책을 강화했다고 13일 밝혔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중요문화재, 한강교량, 공동구 등 시내 중요시설물 469곳에 대한 현장 점검을 완료하고 총 372억 원을 투입해 시설물별 특징에 따라 안전대책을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시는 흥인지문, 서울문묘 등 중요문화재 19곳의 근무인력을 기존 55명에서 130명으로 75명 늘리고 24시간 상주 근무체제를 가동하는 한편 야간 등 취약시간대 현장 순찰횟수도 1회에서 5회로 늘렸다.
또 CCTV, 첨단화재감지기, 자동경보시스템을 확충하고 문화재청과 협의해 방화에 대비하기 위한 천장부 투명 방화유리막 및 화재연소방지 수막설비를 구축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안으로 문화재나 지하상가 등 중요시설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외부침입이 있을 경우 서울종합방재센터에 상황을 전파해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경보 및 자동전파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교량, 고가차도, 문화재 등 주요 공공시설물 67곳과 백화점, 터미널 등 83곳 민간시설물에 대해서는 화재 등 재난사고에 대비해 7월 말까지 설계도면, 위치도 등 재난대비 필요자료를 현장과 시설물 관리부서, 관할 소방서에 3중으로 비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는 트러스 및 사장교 등 특수 한강교량의 취약부문 점검을 위한 맞춤형 점검 동선지도를 작성한데 이어 올 상반기 중 균열디지털 측정기, 로봇팔 카메라 등 정밀진단 첨단장비와 계측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밖에 전기.통신시설 등을 수용하는 지하터널인 공동구와 집단에너지 공급시설에도 CCTV를 추가 설치하는 등 24시간 상시 감시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노인.장애인.아동 등을 수용하는 복지시설에 대해서 `안전 도우미'를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6월 말까지 일반 시설물에 대한 현장점검이 모두 끝나면 관리실태 전반에 대한 문제점 등을 정밀 분석해 시설물별 특성에 맞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