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오후 4시께 경기 고양시 주엽동의 한 백화점 앞에서 한 일간지 판촉사원(모자쓴 이)이 뒤춤에 상품권이 담긴 봉투를 들고 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상품권 7만원어치, 7달 공짜” “현금 4만원, 7달 공짜”
대형신문사들, 1년구독료 95%까지 무차별 경품제공
“신문고시 재검토” 발언 부채질…언론단체 맹비난 “1년만 보고 다른 신문으로 갈아타세요. 1만원짜리 상품권 7장 드리고, 7개월 동안 공짜로 넣어드려요.” 20일 오후 경기 고양의 한 백화점 앞. 40대 후반의 남자가 행인들에게 상품권을 보여주며 신문 구독을 권유하고 있었다. 아파트 밀집 지역인 이곳은 쇼핑 나온 주민들로 늘 붐벼 판촉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ㅈ신문 미디어마케팅팀 직원 ㅇ아무개’라고 밝힌 그는 “원래 5장만 주는데 내 수당에서 2만원을 떼 주는 것”이라며 “본사에서 전화 오면 5장만 받았다고 얘기해 달라”고 했다. 그는 “판촉 비용 부담이 커서 개인 지국은 견디질 못한다”며 “이 지역도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 체제”라고 말했다. ‘남는 게 있냐’고 묻자 “신문에 껴 나가는 찌라시(광고지) 때문에 괜찮다. 신문으론 수익이 안 나도 거기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신문을 2개씩 보는 집도 꽤 된다”며 “무료로 7개월을 본 뒤 유료 기간이 6개월쯤 지나면 또 하나를 신청하는 식”이라고 덧붙였다.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 13일 “신문고시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뒤, 구독을 대가로 불법 경품과 무가지를 제공하는 신문 판촉이 노골적으로 활개를 치고 있다. 신문고시는 연간 구독료의 20%를 초과하는 경품 및 무가지 제공을 금지하고 있지만,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일부 대형 신문사들은 1년 구독료의 80~95%까지를 경품과 무가지로 제공하고 있다. 일부 판촉원들은 현금을 미끼로 내걸기도 한다. 19일 오후 서울 잠실의 한 대형마트 입구에서는 50대 남성이 현금을 흔들며 행인에게 접근했다. 그는 “1년 약정하면, 현금 4만원에 7개월 동안 공짜로 넣어 준다”며 “(현금을) 좀더 줄 수 있지만, 원룸 주택에 살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가가호호 방문 판촉도 성행 중이다. 서울 사당동의 한 시장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최아무개(53)씨는 “오후부터 밤 늦게까지 3~4명이 선풍기나 전기히터 등을 들고 다니며 신문 판촉을 한다”며 “6~7개월은 공짜로 넣어준다고 하는데, 귀찮을 정도로 많다”고 말했다. 지난 주초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로 이사한 이주국(70)씨는 “이사 이틀 만에 신문 판촉원이 상품권 넉 장을 들고 집으로 찾아왔다”며 “이사온 것을 귀신처럼 알고 있더라”고 말했다. 김순기 전국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백 공정위원장의 ‘신문고시 재검토’ 발언은 조·중·동 등 거대 신문사들이 연간 뿌리는 불·탈법 경품과 무가지 규모가 수백억원에 이르는 신문 시장을 전혀 모르는 발언”이라며 “공정위는 지난해 말부터 신문고시 관련 직권조사를 하지 않는 등 정권과 거대 언론의 눈치를 살피며 손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도 성명을 통해 “공정위가 거대 족벌 신문들의 요구에 굴복하고, 재벌·부자 정당 등 우리사회 권력 집단들에 휘둘려 허수아비 기관으로 전락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최현준 노현웅 기자 haojune@hani.co.kr
“신문고시 재검토” 발언 부채질…언론단체 맹비난 “1년만 보고 다른 신문으로 갈아타세요. 1만원짜리 상품권 7장 드리고, 7개월 동안 공짜로 넣어드려요.” 20일 오후 경기 고양의 한 백화점 앞. 40대 후반의 남자가 행인들에게 상품권을 보여주며 신문 구독을 권유하고 있었다. 아파트 밀집 지역인 이곳은 쇼핑 나온 주민들로 늘 붐벼 판촉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ㅈ신문 미디어마케팅팀 직원 ㅇ아무개’라고 밝힌 그는 “원래 5장만 주는데 내 수당에서 2만원을 떼 주는 것”이라며 “본사에서 전화 오면 5장만 받았다고 얘기해 달라”고 했다. 그는 “판촉 비용 부담이 커서 개인 지국은 견디질 못한다”며 “이 지역도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 체제”라고 말했다. ‘남는 게 있냐’고 묻자 “신문에 껴 나가는 찌라시(광고지) 때문에 괜찮다. 신문으론 수익이 안 나도 거기서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신문을 2개씩 보는 집도 꽤 된다”며 “무료로 7개월을 본 뒤 유료 기간이 6개월쯤 지나면 또 하나를 신청하는 식”이라고 덧붙였다. 백용호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 13일 “신문고시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뒤, 구독을 대가로 불법 경품과 무가지를 제공하는 신문 판촉이 노골적으로 활개를 치고 있다. 신문고시는 연간 구독료의 20%를 초과하는 경품 및 무가지 제공을 금지하고 있지만,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일부 대형 신문사들은 1년 구독료의 80~95%까지를 경품과 무가지로 제공하고 있다. 일부 판촉원들은 현금을 미끼로 내걸기도 한다. 19일 오후 서울 잠실의 한 대형마트 입구에서는 50대 남성이 현금을 흔들며 행인에게 접근했다. 그는 “1년 약정하면, 현금 4만원에 7개월 동안 공짜로 넣어 준다”며 “(현금을) 좀더 줄 수 있지만, 원룸 주택에 살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가가호호 방문 판촉도 성행 중이다. 서울 사당동의 한 시장에서 상점을 운영하는 최아무개(53)씨는 “오후부터 밤 늦게까지 3~4명이 선풍기나 전기히터 등을 들고 다니며 신문 판촉을 한다”며 “6~7개월은 공짜로 넣어준다고 하는데, 귀찮을 정도로 많다”고 말했다. 지난 주초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로 이사한 이주국(70)씨는 “이사 이틀 만에 신문 판촉원이 상품권 넉 장을 들고 집으로 찾아왔다”며 “이사온 것을 귀신처럼 알고 있더라”고 말했다. 김순기 전국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백 공정위원장의 ‘신문고시 재검토’ 발언은 조·중·동 등 거대 신문사들이 연간 뿌리는 불·탈법 경품과 무가지 규모가 수백억원에 이르는 신문 시장을 전혀 모르는 발언”이라며 “공정위는 지난해 말부터 신문고시 관련 직권조사를 하지 않는 등 정권과 거대 언론의 눈치를 살피며 손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도 성명을 통해 “공정위가 거대 족벌 신문들의 요구에 굴복하고, 재벌·부자 정당 등 우리사회 권력 집단들에 휘둘려 허수아비 기관으로 전락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최현준 노현웅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