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독을 제거하고 복어를 우리가 아무런 걱정없이 먹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민동석 농림수산식품부 농업통상정책관은 22일 평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광우병으로부터 확실히 자유롭다고 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대해 "광우병특정위험물질만 제거하면 99.9% 안전하다"며 이같이 비유했다.
또 전날 농식품부 정운천 장관은 오찬 간담회에서 "광우병은 구제역과 달리 전염병이 아니지 않나. 광우병 위험이 과장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쇠고기 주무부처 장관과 협상 수석대표의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광우병에 대한 기본적 상식조차 없는 것 아니냐", "국민 건강을 책임져야할 위치의 사람들이 무책임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지금까지 광우병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프리온(prion)'이란 단백질 입자는 특성상 복어독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위험하다. 우선 독과는 달리 세계보건기구(WHO)나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주요 관리 대상으로 삼는 사람.동물 공통 전염병의 하나이고, 잠복기가 길게는 40년에 달해 이 프리온이 뇌 등의 정상 세포 변형을 일으키기 전까지는 쉽게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도 어렵다.
'단백질(Protein)'과 '비리온(Virion:바이러스 최소단위)'의 합성에서 비롯된 명칭처럼, 프리온은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긴하지만 DNA나 RNA와 같은 핵산이 없어 바이러스와 성격이 전혀 다르다. 바이러스보다 크기가 훨씬 더 작은 '단백질 입자'에 가깝다. 따라서 인류가 지금까지 개발한 항(抗)바이러스제 등을 통한 예방, 치료가 불가능하다.
또 뇌.척수 등 광우병위험물질(SRM)에서 프리온의 대부분이 발견되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다른 부위가 안전하다는 뜻은 아니다. 프리온이 살코기는 물론 소변이나 혈액 등에서도 발견됐다는 보고도 있다.
1986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광우병에 대한 연구 역사가 20년 남짓에 불과하기 때문에 소의 어떤 부위, 어떤 연령이 어느 정도 안전하다고 확률적으로 단언하기가 사실상 어렵고, 이런 상황이라면 미국처럼 광우병 발병 경력이 있는 나라의 쇠고기 수입은 아주 신중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박상표 '국민건강을 위한 수의사연대' 정책국장은 "수석 대표와 주무 장관이 광우병에 대해 그 정도 인식을 갖고 협상을 지휘했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지금 철저히 막지 많아 10년, 15년 후 만약 우리나라에서 인간 광우병 환자가 발견되면 그 때 책임질 수 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한미 관계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고려해 불가피하게 동물성사료조치 등 광우병 안전장치가 아직 미흡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전면 개방을 약속했다해도,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정부라면 "미국산 쇠고기는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홍보할 게 아니라 "향후 철저한 검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는 게 옳은 태도라는 주장이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표 '국민건강을 위한 수의사연대' 정책국장은 "수석 대표와 주무 장관이 광우병에 대해 그 정도 인식을 갖고 협상을 지휘했다는 사실이 놀랍다"며 "지금 철저히 막지 많아 10년, 15년 후 만약 우리나라에서 인간 광우병 환자가 발견되면 그 때 책임질 수 있는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한미 관계와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고려해 불가피하게 동물성사료조치 등 광우병 안전장치가 아직 미흡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전면 개방을 약속했다해도,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정부라면 "미국산 쇠고기는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홍보할 게 아니라 "향후 철저한 검역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는 게 옳은 태도라는 주장이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