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계층별 건강불평등 심화…보사연 김혜련 연구원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육체 노동자일 경우 흡연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연구원은 27일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은 `우리나라 흡연율의 사회계층별 불평등과 변화추이'란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김 연구원은 1998년과 2001년, 2005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25∼64세 및 65세 이상 남녀 인구를 대상으로 교육수준별, 소득수준별, 직업유형별 흡연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5∼64세 남자의 연령 보정 흡연율은 교육수준이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실제로 2005년도의 흡연율을 보면 대학 이상 48.01%, 고등학교 60.78%, 중학교 59.68%, 초등학교 이하 66.81% 등이었다.
25∼64세 남자의 직업유형, 즉 비육체 노동자와 육체 노동자, 기타(무직자 포함) 유형별 흡연율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2005년도 흡연율의 경우 비육체 노동자가 46.2%인데 반해 육체 노동자는 61.85%로 육체 노동자의 흡연율이 비육체 노동자 흡연율에 비해 훨씬 높았다. 25∼64세 남자의 소득수준별 흡연율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흡연율은 올라갔다. 2005년도 흡연율을 살펴보면, 소득수준이 높은 상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그룹은 47.83%에 불과한 반면, 2분위 그룹 51.14%, 3분위 그룹 56.1%, 4분위 그룹 61.18% 등으로 점점 높아지다 최하위인 5분위 그룹에서는 64.59%로 나타났다. 특히 1998년과 2001년, 2005년 등 3개년의 시계열적 변화 추이를 비교한 결과, 비교 기간이 7년이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25∼64세 남녀 모두 흡연율에서 교육, 직업 및 소득수준간 불평등이 심화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김 연구원은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흡연율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금연사업이나 캠페인, 특히 담배가격 정책을 펼 때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은 인구집단에 집중하는 전략적 목표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한기 기자 shg@yna.co.kr (서울=연합뉴스)
2005년도 흡연율의 경우 비육체 노동자가 46.2%인데 반해 육체 노동자는 61.85%로 육체 노동자의 흡연율이 비육체 노동자 흡연율에 비해 훨씬 높았다. 25∼64세 남자의 소득수준별 흡연율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흡연율은 올라갔다. 2005년도 흡연율을 살펴보면, 소득수준이 높은 상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그룹은 47.83%에 불과한 반면, 2분위 그룹 51.14%, 3분위 그룹 56.1%, 4분위 그룹 61.18% 등으로 점점 높아지다 최하위인 5분위 그룹에서는 64.59%로 나타났다. 특히 1998년과 2001년, 2005년 등 3개년의 시계열적 변화 추이를 비교한 결과, 비교 기간이 7년이라는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25∼64세 남녀 모두 흡연율에서 교육, 직업 및 소득수준간 불평등이 심화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김 연구원은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흡연율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금연사업이나 캠페인, 특히 담배가격 정책을 펼 때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은 인구집단에 집중하는 전략적 목표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한기 기자 sh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