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올림픽 성화봉송 행사 도중 벌어진 중국인 유학생들의 `폭력시위'를 놓고 국내 대학가 등에서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 중국인 유학생을 향한 무분별한 감정적 비난과 개인정보 유출 사태에 대해서는 자제를 촉구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고려대 총학생회는 29일 티베트평화연대가 발표한 `중국은 과연 올림픽을 치를 자격이 있는가'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인용해 안암캠퍼스 교내에 대자보를 붙이고 이번 폭력사태에 대한 일부 중국인들의 행동을 간접 비판했다.
총학생회는 대자보에서 "표현의 자유가 있는 나라에 유학와서 자신들과 생각이 다르다고 외국인들을 향해 무차별적인 폭력을 휘두르다니"라며 "저항할 의사가 없는 소수의 사람을 에워싸고 광기를 쏟으며 반복적으로 폭력을 가한 그들의 행위는 `난동'이라는 말외엔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고 밝혔다.
총학생회는 5월 1일 주한 중국대사관 앞에서 이번 성화봉송과 관련한 폭력사태와 티베트 문제에 관한 집회를 열 계획이다.
고려대뿐 아니라 서울 시내 각 대학 인터넷 게시판에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비판이나 실망감을 드러내는 게시물이 많이 올라오고 있다.
서울대 학생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는 지난 27일 성화봉송 이후 시위에 가담한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징계를 주장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서울대 한 학생은 "서울대 내에서 혹시 그 시위에 참가해 폭력을 저지른 학생이 있다면 반드시 처벌을 받았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학생도 글을 올려 "다른 중국인과 함께 폭력을 행사했다면 학교의 명예를 훼손한 게 된다. 학교에서 그에 맞는 징벌을 내리는 게 마땅하다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한국외대 학생 커뮤니티 `훕스라이프'에도 "불법 폭력행사에 참가해 학교 명예를 실추시킨 유학생들을 징계해야 한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중국인유학생회 간부들의 실명과 연락처가 퍼지면서 일부 학생들이 이들의 개인정보를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으로 함부로 퍼오는 등 감정적인 대립을 조장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고려대 경영학과에 재학중인 이모(29)씨는 "이번 성화봉송 행사에서 빚어진 폭력행동은 잘못된 것"이라며 "그러나 중국 유학생 신원을 게시판에 공개하는 행동 역시 개념없는 일이다. 일부 중국인의 행동으로 모든 중국인을 매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아이디 `Neuro'를 사용하는 한 경희대생은 "중국 학생들의 폭력시위는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일부의 잘못을 중국 유학생 전체의 잘못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감정대립의 확산을 경계했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이번 사태의 배경을 놓고 다소 의견이 엇갈리기는 했지만 폭력이 벌어진 데 대해서는 대체로 미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성화봉송 행사에 참석했던 중국인 유학생 A(고려대)씨는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였고 하나의 나라였다. 외국인들의 티베트 독립 발언에 일부 중국인들이 흥분한 것 같다"라면서도 "폭력행위는 심했다고 생각한다. 폭력적인 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고려대에 다니는 다른 중국인 유학생 B씨는 "중국에서는 티베트에 대해 부정적인 보도를 내보내거나 아예 보도하지 않는다. 언론통제의 영향으로 티베트는 당연히 중국의 영토라고 생각하는 중국인들이 많아 분리 독립을 지지하는 한국인들의 외침에 흥분할 수밖에 없었다"라며 지나친 애국주의가 미디어의 영향이라고 진단했다. B씨 또한 폭력시위에 대해 "폭력을 행사한 부분은 잘못이라고 본다. 미리 시위대와 성화봉송행사에 나온 사람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경찰이 조치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중앙대에 재학 중인 한 중국인 유학생은 게시판에 글을 올려 "같은 중국인으로서 어제 일부 중국인들의 폭행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평화 시위를 열기 위한 중앙대 유학생들의 회의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한국외대 학생 커뮤니티 `훕스라이프'에도 "불법 폭력행사에 참가해 학교 명예를 실추시킨 유학생들을 징계해야 한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중국인유학생회 간부들의 실명과 연락처가 퍼지면서 일부 학생들이 이들의 개인정보를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으로 함부로 퍼오는 등 감정적인 대립을 조장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고려대 경영학과에 재학중인 이모(29)씨는 "이번 성화봉송 행사에서 빚어진 폭력행동은 잘못된 것"이라며 "그러나 중국 유학생 신원을 게시판에 공개하는 행동 역시 개념없는 일이다. 일부 중국인의 행동으로 모든 중국인을 매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아이디 `Neuro'를 사용하는 한 경희대생은 "중국 학생들의 폭력시위는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일부의 잘못을 중국 유학생 전체의 잘못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감정대립의 확산을 경계했다. 중국인 유학생들은 이번 사태의 배경을 놓고 다소 의견이 엇갈리기는 했지만 폭력이 벌어진 데 대해서는 대체로 미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성화봉송 행사에 참석했던 중국인 유학생 A(고려대)씨는 "티베트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였고 하나의 나라였다. 외국인들의 티베트 독립 발언에 일부 중국인들이 흥분한 것 같다"라면서도 "폭력행위는 심했다고 생각한다. 폭력적인 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고려대에 다니는 다른 중국인 유학생 B씨는 "중국에서는 티베트에 대해 부정적인 보도를 내보내거나 아예 보도하지 않는다. 언론통제의 영향으로 티베트는 당연히 중국의 영토라고 생각하는 중국인들이 많아 분리 독립을 지지하는 한국인들의 외침에 흥분할 수밖에 없었다"라며 지나친 애국주의가 미디어의 영향이라고 진단했다. B씨 또한 폭력시위에 대해 "폭력을 행사한 부분은 잘못이라고 본다. 미리 시위대와 성화봉송행사에 나온 사람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경찰이 조치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중앙대에 재학 중인 한 중국인 유학생은 게시판에 글을 올려 "같은 중국인으로서 어제 일부 중국인들의 폭행 사건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평화 시위를 열기 위한 중앙대 유학생들의 회의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