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5개지역 시·도지사 ‘낙동강 운하’ 합창
시민단체들 “생태계·식수원 파괴 저지” 공동대응
시민단체들 “생태계·식수원 파괴 저지” 공동대응
영남지역 광역 시·도지사 5명이 낙동강 운하 추진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이들은 독자적으로 낙동강 운하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중앙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경남·북, 부산·대구·울산 등 영남지역 시·도지사 5명은 23일 오후 3시 대구스타디움에서 만나 동남권 국제공항 건설과 함께 낙동강 운하를 조기에 건설해 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채택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내기로 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내륙도시와 비수도권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낙동강 운하와 신공항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영남권의 상생발전을 위해서 앞으로 시·도지사들이 힘을 결집해 나가겠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대구는 내륙도시여서 기업들이 오기를 꺼린다”며 “물길과 하늘길이 열리면 대기업도 유치되지 않겠느냐”는 말을 자주 했다.
김태호 경남지사도 “물길을 열면 환경·홍수 문제도 해결하고 관광 분야의 기대효과도 크다”며 “영남에 하늘길과 뱃길이 뚫리면 시너지 효과가 폭발적일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김 지사는 22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이 말한 대로 우선 4대 강을 정비하지만, 국민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그때 강을 잇겠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도 낙동강 운하가 뚫린다는 전제 아래 달성군 논공에 내륙항 화물터미널(1천만㎡), 달성군 구지 국가과학산업단지(1천만㎡)와 여객터미널 건설 등을 계획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 등이 자치단체 차원에서 지난해 연말부터 낙동강 운하포럼·실무추진단을 구성해 낙동강 운하 및 연안개발 기본계획 연구 의뢰 등을 추진해 왔지만, 5개 영남권 시·도지사들이 공동으로 나서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남권 시·도지사들의 움직임에 맞선 시민단체들의 활동도 활발하다. 운하백지화 부산본부, 대구본부, 경북본부 등 5개 지역본부 대표들은 시·도지사 모임에 맞춰 23일 오전 대구시청에 모여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운하는 한반도 운하의 영남권 축소판으로 생태계 파괴와 식수원 오염 등이 우려된다”며 공동대응에 나설 태세다. 운하백지화 국민행동 안재홍 사무국장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금은 낙동강 정비 등을 집중홍보하지만 결국은 강을 망치는 운하 건설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운하 건설계획은 경북 문경 이남 지역 낙동강 288㎞에 운하를 놓고 강변을 개발하겠다는 내용으로, 경부운하 전체 길이 540㎞의 절반을 넘는 규모다.
대구 창원/구대선 최상원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