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판] 한국철도공사 유전사업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홍만표)는 청와대가 감사원 감사 이전에 이 사건의 경위를 파악하고서도 별다른 조처를 취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조사할 것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언론과 야당에서 의혹이 제기된 것은 모두 조사해 보겠다”며 “청와대 관계자 소환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검찰은 또 감사원이 수사를 의뢰한 김세호(52) 건설교통부 차관과 신광순(54) 철도공사 사장, 왕영용(49)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 등을 이번주 중반께부터 불러 조사하기로 했다. 검찰은 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전대월(43)씨와 인도네시아로 잠적한 허문석(71)씨를 직접 조사하지 않고도 왕 본부장 등의 혐의를 입증할 물증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석유공사와 에스케이의 유전개발 실무자들을 불러 사할린 6광구의 사업성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처음 사업을 제안한 권광진씨를 빼고는 모두 사업성이 없다고 진술하고 있으나, 유전 개발이 리스크가 큰 사업이기 때문에 사업이 실패했다고 해서 업무상 배임으로 처벌하기는 어렵다”며 “왕 본부장 등이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무모하게 유전 인수에 뛰어든 것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춘재 황예랑 기자 cjle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