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은 25일 한국인 근로자 1천명 감원방침에 대해 철회할 뜻이 없음을 재확인했다.
전국주한미군 한국인 노동조합(위원장 강인식)은 25일 서울 용산 주한미군사령부를 방문해 찰스 캠벨 미8군 사령관 등 수뇌부와 교섭을 벌인 뒤 이같은 미군의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미군 측은 이번의 감원 문제는 연합토지관리계획(LPP)과 1만2천500명 주한 미2사단 감축과 관련해 단계적으로 현재까지 줄여온 내용과는 확고히 다른것임을 인정했다"면서 "미군은 방위비 분담금 삭감으로 인한 군사상 운영을 중단 혹은 변경한 데 따라 발생한 1천명 정도의 감원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그는 "따라서 감원 문제는 철회할 수 없는 여건이지만 노사 간의 긴밀한 접촉과노사 간의 협의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미군의 입장을 전했다.
주한미군 한국인 노조는 영등포구 당산동 조합사무실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방위비 분담금 삭감에 따른 한국인 직원 감원계획에 대한 투쟁방침을 정했다.
이들은 미군 측이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보고 오는 5월 12일부터 농성과 결의대회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
노조는 이 결의대회에도 불구하고 향후 한국정부와 주한미군 당국이 성실한 반응을 보여주지 않을 시 오는 6월 3일 서울 용산 국방부 앞에서 장기농성에 들어갈계획이다.
강 위원장은 "한국 정부나 주한미군 당국이 더 이상의 교섭을 하지 않겠다면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현재 주한미군에는 총 1만5천여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배속돼 전쟁대비 작전기지구축이나 전투태세 사전준비 작업 등 총 240종의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현재 주한미군에는 총 1만5천여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배속돼 전쟁대비 작전기지구축이나 전투태세 사전준비 작업 등 총 240종의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