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전 통일연구원서 내부규정 위반 중징계 항의 사직
총선 한나라 공천탈락…통일교육·남북관계 파장 예고
총선 한나라 공천탈락…통일교육·남북관계 파장 예고
6·15 남북공동선언을 ‘이적 문서’라고 비난하고 공개적으로 ‘흡수통일’을 주장해온 홍관희 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통일교육원장에 내정돼, 통일교육 책임자로서의 균형감 논란과 남북관계 파장이 예상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5일 “홍 전 선임연구위원이 새 교육원장으로 사실상 확정돼 16일 공식 임명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홍 전 선임연구위원은 통일연구원 재직 당시인 2005년 5~6월 <민족정론>에 기고한 글에서 6·15 공동선언을 “북한의 적화통일 방안을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용공 이적행위”라고 규정하고 “북한의 대남전략을 합리화하고 선전하는 도구로 전락하며 자유 한국을 속박하는 족쇄가 돼버린 것”이라고 비난했다. 당시 홍 전 선임연구위원은 대외 활동 때 사전 허락을 받도록 한 연구원 규정을 여러 차례 어겼다는 이유로 중징계를 받자, 이에 항의해 사직했다.
그는 이후에도 각종 언론 기고와 강연을 통해 “6·15 공동선언은 김정일 정권 살리기를 명문화한 이적문서”라고 주장해왔다. 지난해 4월 한 강연에서는 “북한 정권을 붕괴시키고 흡수통일해 북한 주민을 구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 전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4월 총선에서 한나라당 중랑을 선거구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바 있다.
통일부 산하기관인 통일교육원은 통일교육지원법에 따라 방북자를 포함해 각급 학교·민간·공직자 등을 상대로 통일교육을 지원하고 시행하는 기관이다. 교육원의 한 관계자는 “남북의 국정 최고책임자가 서명한 정부 공식문서인 6·15 공동선언을 이적 문서로 규정하고 흡수통일을 공공연히 주장하는 분이 통일교육기관의 수장을 맡는다는 건 상식적으로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홍 전 선임연구위원의 통일교육원장 임명은 남북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란 우려도 낳고 있다. 한 남북관계 전문가는 “북쪽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6·15와 10·4 정상회담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공개 선언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며 “남북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북쪽은 이명박 정부의 6·15 공동선언 및 10·4 정상선언 합의사항 이행의사 공개 표명을 경색된 남북 당국관계 재개의 시금석으로 삼겠다고 밝혀왔다.
한편, 지난 4월 새로 구성된 통일부 정책자문위에 현인택(고려대) 윤덕민(외교안보연구원), 제성호(중앙대), 유호열(고려대) 교수 등 보수 성향의 학자들이 대거 포함된 반면 김연철(고려대), 김근식(경남대) 교수 등 진보성향의 학자들이 제외되는 등 새 정부 들어 남북관계 관련 조직에 보수세력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권혁철 이제훈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