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말 자체적인 퇴출 후보자 105명을 선정한 농촌진흥청이 이번에는 연구성과가 부진한 하위 20% 연구관의 호봉 승급을 제한하기로 했다. 새정부 출범과 함께 퇴출위기를 겪었던 농진청이 조직경쟁력 강화를 위해 내놓은 자구책이다. 그러나 “인위적인 구조조정이 순수 농업 연구기능을 위축시킬 수 있다”며 우려하는 농진청 직원들의 목소리도 높다.
농촌진흥청은 9일 “연구관 호봉승급심사위원회를 열어 연구실적이 부진한 8명을 탈락시켰다”고 밝혔다. 이번에 봉급이 동결된 이들 8명은 올해 연말까지 승급심사 대상 인원 42명의 20%에 이른다. 농진청은 또 ‘연구관 호봉승급심사규칙’을 바꿔 분기마다 실시되던 심사를 연 2회 실시하고 앞으로는 성과 부진 하위 20%는 의무적으로 호봉승급을 제한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호봉승급심사가 실시되면 농진청에 근무하는 전체 연구관 404명 가운데 연차적으로 80명 정도의 호봉 승급이 제한될 전망이다.
승급이 제한된 연구관은 다음 승급 심사까지 3년 동안 평균 승급액인 월 8만3천460원과 호봉에 따른 각종 수당까지 포함해 매년 140만원 정도의 봉급이 줄어들게 된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농진청은 앞서 지난 4월말 자체적인 퇴출 후보자 105명을 선정했고 이 가운데 60여명이 명퇴 신청을 했으며 현재 40여명이 심리치료 등의 재교육을 받고 있다. 이들은 교육과정이 끝나는 다음달말께 보직 재배치에 대한 심사를 받게된다.
농진청이 이처럼 잇따른 강도높은 쇄신책을 내놓자 농진청 직원들은 아예 초상집 분위기다. 한 직원은 “교육을 받으러 가는 공무원 가운데 퇴출 대상자로 몰려 교육을 받는 동료들과 함께 교육받기가 괴롭다며 교육을 연기해달라고 사정해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박사급 공무원은 “수십년간 한국의 농업연구와 기술 보급 발전을 천직으로 알고 일했다”며 “농업연구 인력을 시장적 잣대로만 판단하지 말고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사기와 성과를 높여줄 대책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수원/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