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밤 10시 30분쯤 서울 여의도 진보신당 사무실에 난입해 난동을 부리고 사람을 때린 대한민국특수임무수행자회 회원으로 보이는 남성이 여의도 지구대에서 영등포경찰서로 이송되는 경찰차 안에서 취재진의 카메라를 막는 경찰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지난달 6일 촛불집회가 열리던 서울시청 앞 광장을 차지하고 ‘합동위령제’를 지냈던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회(HID) 회원들이 1일 밤 서울 여의도 진보신당 당사에 난입해 당직자와 당원을 폭행한 혐의로 경찰에 연행됐다.
경찰과 진보신당 쪽의 말을 종합하면, 이 단체 오아무개(47) 사무총장 등 소속 회원 5명은 이날 오후 10시30분께 진보신당 당사에 몰려와 “진중권·칼라티브이, 빨갱이 XX새끼들 다 죽여버리겠다”며 당사 현판을 떼어내 발로 밟아 부수고, 문 앞에 놓여있던 소화기를 휘두르는 등 행패를 부렸다. 이들은 당사 안까지 난입해 복사기 등 집기를 발로 차며 당시 회의 중이던 여성 당직자들을 위협했다. 이들 회원들은 또 시청 앞 광장에서 촛불집회 생중계를 진행하다 소식을 듣고 달려온 진중권 교수의 뺨을 때리고 남성 당직자들의 머리를 잡고 다리로 복부와 턱을 때리는 등 폭행했다. 이 과정에서 얼굴과 다리를 심하게 맞은 진보신당 당직자 1명은 서울 여의도 성모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앞서 특수임무수행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현충일에 불거진 폭력사태는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로 위장해 침투한 친북좌파세력의 전위대인 진보신당 및 칼라티브이가 정부 전복을 위해 혁명 전략ㆍ전술로 치밀하게 계획한 작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인터넷 사이비 언론들은 한 목소리로 사실을 조작해 보도하고, 현장에 없었던 다른 신문과 방송들도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선동적인 보도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연행된 이 단체 사무총장 오씨는 지난 6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연 ‘합동위령제’를 주도한 인물이며, 이명박 대통령의 후보시절 안보특위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김득의 진보신당 총무팀장은 “신고한 뒤 15분이 넘어서야 경찰이 출동해 난동을 부린 사람들을 경찰차에 나눠 태웠지만, 이 가운데 1명이 진중권 교수를 보고 차에서 내려 진 교수의 뺨을 2대 때리며 ‘죽여버리겠다’고 위협했다”며 “상황이 이런 데도 경찰은 난동자들을 제대로 제압하지 못했다”고 경찰의 소극적 대응을 비판했다. 이선희 진보신당 대변인도 “경찰은 나중에 연락한 119 구급대보다 늦게 도착했고 당직자를 폭행하던 특수임무수행자회 회원들을 강력하게 말리지도 않았다”며 “상황을 대수롭지 않게 보는 것 같았고 되레 우리 보고 피하라고 하기도 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 대변인은 “이들은 또 난동을 부리면서도 휴대전화로 ‘지금 진보신당에 들어와 부수고 있다’는 등 어디엔가 보고를 했다”며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난동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인근 여의도 지구대로 연행된 이들 회원 5명은 “우리가 피해자다. 빨갱이들 꺼져라. 진중권과 대화하겠다”며 20여분 동안 조사를 거부했으며, 이를 말리는 경찰에게도 “XX새끼들, 나는 그 자리(진보신당 난동)에 없었다”고 욕설을 퍼부으며 혐의를 부인하기도 했다. 결국 이들은 자정이 지나 영등포 경찰서로 전원 호송됐다.
이선희 대변인은 “이들이 칼라티브이와 진중권 교수를 빨갱이라 부르며 난동을 부린 것으로 보아 촛불집회에 대한 반감으로 이런 일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공당에 대한 테러이며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1일 밤 10시 30분쯤 서울 여의도 진보신당 사무실에 난입해 깨진 진보신당 간판.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1일 밤 10시 30분쯤 서울 여의도 진보신당 사무실에 난입해 난동을 부리고 사람을 때린 대한민국특수임무수행자회 회원으로 보이는 남성이 여의도 지구대에서 영등포경찰서로 이송되는 경찰차 안에서 창문울 열고 ‘칼라TV‘를 진행하는 진중권 교수에게 폭언을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이선희 대변인은 “이들이 칼라티브이와 진중권 교수를 빨갱이라 부르며 난동을 부린 것으로 보아 촛불집회에 대한 반감으로 이런 일을 저지른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공당에 대한 테러이며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